일상 생활용품을 만드는 카오는 ESG를 매우 중요시한다/홈페이지
일상 생활용품을 만드는 카오는 ESG를 매우 중요시한다/홈페이지

일부 일본기업들이 임원은 물론 일반 사원의 임금에까지 종업원의 ESG에 대한 대응을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일본경제신문이 27일(현지시각) 조간신문 1면에 보도했다.

전 세계적으로 35조달러(약 4경4963조원)에 이르는 ESG 투자가 일본 기업들에게 전사적인 의식 개혁을 이끌어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근래 ESG 관련의 주주 제안이 급속히 늘어났고 일본에서도 올해 소액주주들의 배당확대 및 자사주 매입 요구 사례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올 들어 주주제안을 받은 상장사가 77곳, 안건수가 292건으로 최다였으며,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제안을 받은 기업도 지난해 17곳에서 올해 36곳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에는 스미토모 상사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여러 번 지적을 받자 석탄 화력발전의 철수를 발표하기도 했다. 올해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제조 대기업 후지텍의 CEO 연임 계획이 행동주의 펀드의 문제 제기로 좌절되는 사례도 나왔다. 
 

일반 사원의 보수에 ESG 반영 사례 세계적으로도 드물어

일반 사원의 보너스에 ESG에 대한 대응을 연동시키는 것은 임원 보수에 ESG를 반영한 것에 뒤따른 움직임이다. 컨설팅 기업인 윌리스 타워즈 왓슨(Willis Towers Watson)에 따르면, 주요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기업의 임원보수에 ESG에 연동시키는 것은 유럽에서 79%, 미국에서 60%정도라고 한다. 반면, 일본은 시가총액 상위 100개 회사의 30%정도만 임원보수에ESG를 연동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일부 일본기업처럼 일반 사원의 상여금을 대상으로 ESG와 연동시키는 기업은 세계에서도 드물다. 

먼저 다양한 생활용품을 생산하는 카오(KAO)는 사원 스스로가 목표를 정한 인사제도를 사용한다. 목표 중 30%는 ESG와 관련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대상은 카오의 전세계 직원 약 3만명. 인사 평가를 통해서 보너스를 포함한 종업원 임금에 일부 반영한다. 임원 보수의 평가 지표로도 ESG를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재생 에너지 등을 사용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크게 억제하는 방법이나 컵이나 용기 등의 효율적인 재활용 노력을 생각해낼 수 있다. 카오는 ESG를 경영의 핵심으로 생각하고 있어, 이러한 인사 제도를 통해서 사원 개개인의 의식에 ESG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직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오, "종업원의 목표중 30%가 ESG와 관련 있어야" 

한편, 소니(SONY) 그룹은 그룹 산하의 사업 회사마다 ESG에 관한 목표를 정하고 그 달성 정도를 토대로 하여 사원의 보너스를 결정하는 구조를 도입했다. 사업 회사마다 설정한 목표를 본사가 산정하고, 그 성과를 각 사업 회사의 사원의 보너스에 반영되게 된다. 임원 보수도 ESG 평가를 연동시키고 있다.

카오와 소니 보다 앞서서 실천한 일본기업도 있다. 후지필름(Fujifilm)은 2012년 10월부터 환경을 인사평가의 대상으로 일찌감치 도입했다. 환경에 대한 종업원의 대처를 자기가 평가하고, 인사평가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보너스에 일부 반영하는 구조다. 대상은 후지필름 전사원과 일부 관계 회사의 약 1만7000명이다.

후지필름 종업원의 보수에 대한 평가에는 환경뿐 아니라 사회 문제에 대한 대응이나 거버넌스 등도 지표에 반영된다. 후지필름 역시 임원 보수도 ESG의 평가지표를 활용한다.

일찌감치 ESG를 경영에 반영한 후지필름/홈페이지
일찌감치 ESG를 경영에 반영한 후지필름/홈페이지

미츠비시 케미컬 홀딩스(Mitsubishi Chemical Holdings)는 ESG의 S(사회)와 관련해서는 직원의 근로 의욕 등을 높이는 방식, G(거버넌스)에서는 중대한 법령 준수 위반을 줄이는 대처 등을 평가하고 있다. 

글로벌 회계법인인 딜로이트 토마츠(Deloitte tohmatsu) 그룹에 따르면, ESG 관련 대응에 종업원 보수를 연동시키는 움직임은 10여 년 전부터 미국의 인텔 등에 사례가 있다고 한다. 다만, 해외에서도 ESG에 대한 대응을 보너스 평가 기준에 편입하는 움직임은 제한적이었다.

재무지표와 달리, ESG의 지표 중에는 정량적인 수치로만 성과를 잡을 수 없는 것도 많기 때문이다. 어떤 지표를 성과에 반영할지, 어떻게 보수에 반영할 지는 앞으로 해결해야 문제라고 딜로이츠는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임팩트온(Impact O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