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에너지부, 가전제품 효율 표준 최종 확정
미국 에너지부(DOE)가 가정용 냉장고 등에 대한 효율성 표준을 최종 확정, 광범위한 에너지 절약에 나섰다.
에너지부는 상업용 팬(fan) 및 송풍기에 대한 새로운 규칙을 제안하고, 냉장고와 냉동고 표준도 확정, 30년 동안 미국인들이 최대 1조 달러(약 1301조원)를 절약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클린테크니카가 지난달 말 전했다.
이번 에너지 효율 표준으로 30년간 4억2000만 톤 배출 감축 예상
에너지부에 의하면, 가정용 냉장고 및 냉동고에 대한 최종 표준과 상업용 팬을 위한 표준 송풍기의 제안은 미국 국민의 공공요금에서 약 920억 달러(약 119조원)를 절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표준은 30년 동안 누적으로 약4억2000만 미터톤의 위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거의 5300만 미국 가구의 연간 총 배출량에 해당하는 양이다.
에너지부는 2021년과 2022년에도 유사한 에너지 절약 조치를 위한 바 있다. 과거 2년간의 조치를 바탕으로 2023년 말의 조치로 에너지부는 에너지 효율 기준이 30년 동안 거의 1조 달러(약 1301조원)에 달하는 소비자 절약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부는 이러한 표준이 확정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누적적으로 25억 미터톤 이상 줄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30년 동안 가솔린 구동 자동차 1800만 대, 석탄 화력 발전소 22개 또는 주택 1050만 가구의 배출량과 맞먹는 양이다.
현재 에너지부는 2023년에 30개의 제안 또는 최종 에너지 효율 표준을 발표하여 2023년의 행정부 목표를 달성했다.
효율성 기준을 강화하기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전례 없는 조치는 에너지 요금 절감을 통해 평균 가족에게 연간 최소 100달러(약 13만원)를 절약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먼저, 주거용 냉장고 및 냉동고에 대한 효율성 표준은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환경에 따라 2029년 1월 31일 또는 2030년 1월 31일까지 규정을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를 30년 동안 준수한다면, 에너지 절감 효과는 5.6조 BTU(British Thermal Unit)이며, 이는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서 11% 절감된 수치다.
에너지부는 이 표준을 통해 소비자가 30년 동안 배송 비용을 364억 달러(약 47조원)를 절감하고 탄소의 누적 배출량을 약 1억100만 미터톤 감소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1270만 가구의 연간 배출량을 합친 것과 거의 같은 양이라고 한다.
또한, 상업용 팬 및 송풍기의 경우, 미국 기업의 에너지 비용을 연간 33억 달러(약 4조2952억원)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상업용 팬 및 송풍기의 표준은 미국 연방정부 최초로 발표된 것으로서 캘리포니아주에서 이미 발표한 효율성 표준을 따랐고, 제조업체에 명확하게 표준을 전달했다.
에너지부가 제안한 기간 내에 채택되면 새로운 규칙은 2029년에 발효된다.
에너지부는 새로운 규칙이 30년에 걸쳐 미국 기업의 유틸리티 비용을 거의 560억 달러(약 72조원)를 절감하는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거의 3억1800만 톤까지 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4000만 가구의 연간 배출량을 합친 것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확인된다.
미국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 허브도 론칭
이외에도 에너지부는 미국의 소비자가 에너지 절약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절약 허브(Energy Savings Hub)를 론칭했다.
이 웹사이트에서는 청정 에너지 세금 공제 및 향후 환급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여 사람들이 전기차 구매, 가전제품, 주택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개조하는 등 에너지 비용을 관리하고 효율적인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에너지 절약 허브는 주택 소유자, 임차인, 전기차 운전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소비자 입장에서 정리해놓았으며, 에너지 세금 공제와 환급에 대해서는 가전제품, 전기차, 주택 개조 등 세 개 분야로 나누어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에너지부의 건축 기술 사무소(Building Technologies Office)는 60개 이상의 가전제품 및 장비 범주에 대해 최소 에너지 보존 표준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