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링 그룹 CCDH, 유튜브의 기후네거티브로 수백만달러 수익...청소년 영향 심각
최근 유튜브에서 유튜버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허위 주장을 업로드해서 연간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고 디지털 모니터링 그룹이 주장했다.
영국 미디어 로이터와 가디언에 따르면, 영미에 사무실을 두고 활동하는 NGO인 CCDH(Center for Countering Digital Hates)는 지난 16일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런 주장을 폈다.
CCDH는 구글의 동영상 96개에서 지난 6년간 1만2058개 동영상의 대본을 검토하고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CCDH의 유튜브 채널은 인간의 행동이 기온과 날씨 패턴의 장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합의를 훼손하는 콘텐츠를 홍보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증오심 표현을 모니터링하는 비영리 단체 CCDH는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부정(negative) 콘텐츠가 지구 온난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화석 연료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원인이 아니라는 잘못된 주장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런 주장을 옹호하는 동영상은 구글의 정책에 따라 유튜브에서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명시적으로 금지되고 있다.
CCDH, 유튜브 콘텐츠 1만2058개를 AI로 구별하고 분석
보고서는 지난해 분석된 유튜브 채널의 기후변화 부정 콘텐츠 중 70%가 기후 해결책을 실행 불가능하다고 공격하고, 지구 온난화를 무해하거나 유익한 것으로 묘사하거나 기후 과학과 환경 운동을 신뢰할 수 없다는 주장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년 전의 35%보다 증가한 수치다.
CCDH의 CEO, 임란 아메드(Imran Ahmed)는 기자들에게 "이번 전투에서 새로운 전선이 열렸다"며, "우리가 살펴본 사람들은 기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다가 이제는 '기후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희망이 없고 해결책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고서는 CCDH가 분석한 유튜브 채널의 광고를 통해 연간 최대 1340만 달러(약 180억원)를 벌고 있다고 CCDH는 추측했다. CCDH는 인공지능(AI) 모델로 분석을 했으며, 인공지능이 합리적인 회의론과 잘못된 정보를 구별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고 밝혔다.
이에 유튜브 대변인은 "공공 정책이나 연구를 포함한 기후 변화 주제에 대한 토론은 허용되지만, 콘텐츠가 기후 변화 거부의 선을 넘으면 해당 동영상에 광고 표시를 중단한다"고 대응했다. CCDH는 유튜브에 기후 거부 콘텐츠에 대한 정책을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했으며, 자신들의 분석이 지구 온난화에 대한 잘못된 주장에 맞서기 위한 환경 운동에 보다 광범위하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설문조사 결과, 영국 청소년 사이에서 기후 네거티브 현상 증가
CCDH 보고서에는 여론조사 회사 서베이션(Survation)이 실시한 영국에서의 설문 조사 결과도 포함됐다.
13~17세 영국 응답자 중 31%가 "기후 변화와 그 영향이 의도적으로 과도하게 과장 되고 있다"는 진술에 동의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류된 10대 중 37%로 증가했다. 소셜 미디어를 많이 사용하는 기준은 하루에 4시간 이상 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경우다.
아울러 가디언의 보도에 의하면, 영국 10대 3명 중 3명은 기후변화가 과장됐다고 믿고 있다고 CCDH 보고서는 밝혔으며, 청소년을 겨냥한 새로운 종류의 기후 거부를 홍보하는 유튜브 동영상이 플랫폼에 급증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