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신용도에도 환경·사회·지배구조가 영향 미친다

2021-01-20     박지영 editor

국가 신용도에도 ESG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전 세계 144국을 대상으로 ESG 평가를 실시했다. 한국은 ESG 신용영향점수(CIS)에서 최고등급인 1등급을 기록했다. 다만 지배구조에 비해 환경·사회 영역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무디스가 각국의 국가신용등급 평가 보고서에 ESG에 대한 평가를 수록했지만, 보고서를 별도로 발표한 건 처음"이라며 "EGS 강조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ESG 신용영향점수(CIS)는 1~5등급으로 나뉜다. ESG 각 분야별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IPS)를 통해 각각의 점수를 매긴 것을 합산해 종합 평가를 내리는 방식이다. 1등급은 ESG 수준이 높아 국가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다. 2등급은 특별히 우수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아 신용 영향이 중립적이라는 뜻이고, 3등급은 다소 부정적, 4등급은 부정적, 5등급은 매우 부정적이다.

한국은 종합적으로 최고등급인 1등급(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한국의 ESG 관련 요소들이 국가신용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2015년 12월 세 번째로 높은 ‘Aa2' 등급으로 상승한 뒤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 종합 1등급을 기록한 국가는 전 세계 11개국에 불과했다. 독일, 스웨덴, 스위스, 싱가포르 등이다. 미국과 영국은 2등급을, 일본과 중국은 3등급을 부여받았다. 기재부 관계자는 "향후 국가신용등급 평가 때 ESG가 주요 요소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판 뉴딜 등을 통해 친환경 산업 육성, 사회적 책임 강화 등 정책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ESG 평가와 국가 신용등급은 높은 관련성(Strong correlation) 있어

한국, 전 영역에서 세계 평균보다 높아

한편, 무디스는 이번 평가 보고서에서 “ESG 평가와 국가 신용등급은 높은 관련성(Strong correlation)이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결과 ESG 신용영향점수와 국가 신용도는 87%의 강한 상관관계에 놓여있다고 밝혔다. 환경과 사회 영역은 탄력성의 측면에서, 거버넌스는 신용품질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국가 신용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국가 신용등급과 ESG 신용영향점수의 상관관계/무디스

보통 ESG 신용영향점수가 1등급인 국가는 신용등급이 Aaa에서 A로 매겨지는 특징이 있었다. 다만, 국가 신용등급이 A대인 다수의 국가는 ESG 점수가 2등급 또는 3등급이었다. 강한 연관관계는 있지만, 완전히 일치(do not match fully)하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한국은 세부 분야별 평가(IPS)에서 ‘환경’ 2등급(중립적), ‘사회’ 2등급(중립적), ‘지배구조’ 1등급(긍정적)을 획득하면서 전 영역에서 전세계 평균보다 높았다.

환경 영역은 ▲탄소 전환 ▲기후변화 ▲수자원 관리 ▲폐기물 및 공해 ▲자연자본 등 5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성됐다. 한국은 모두 2등급을 기록해 종합 2등급을 획득했다.

사회는 ▲교육 ▲보건 및 안전 ▲기본 서비스 접근성 ▲인구 ▲노동 및 소득 ▲주거로 구성된다. 나머지 항목은 1등급을 기록했지만, 빠른 고령화 등으로 ‘인구’ 분야에서 낮은 평가를 받으면서 종합적으로 2등급이 부여됐다.

반면, ▲제도 ▲정책 신뢰성 및 효과성 ▲투명성 및 정보공개 ▲예산 관리로 구성된 지배구조 항목에서는 모두 1등급을 받았다. 한국의 고질적 문제점이라고 꼽히는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유효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7개의 선진국 중 36개국이 1등급을 부여받아 전 세계적으로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 144개국은 중 환경 분야에서 종합 1등급을 받은 국가는 없었다. 무디스는 “선진국 중 40%는 환경 영역에서 중립적 또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며 “모든 국가에서 환경에 대한 등급은 낮았다”고 밝혔다.

다만, 탄소 의존도가 높은 국가가 적극적인 탈탄소 정책을 폈다면, 이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탄소 배출량 상위 국가지만, 한국형 뉴딜 등 친환경 정책이 긍정적 평가를 받는데 기여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보고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moodys.com/researchdocumentcontentpage.aspxdocid=PBC_1254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