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재생에너지 다각도로 연구 중

2024-02-27     홍명표 editor
 미 국방부 홈페이지.

막대한 예산을 쓰는 미국 국방부(DOD)가 재생에너지를 다각도로 미군에 끌어들이고 있다.

클린테크니카의 23일(현지시각) 보도에 의하면, 미 국방부는 이미 미서부 지역에서 태양광 발전을 해왔다. 그런데 최근에는 미 조달청(GSA)과 연계, 대서양 및 중서부 14개 주에서 더 많은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려고 움직이고 있다. 

클린테크니카는 오바마 행정부 시절부터 재생 에너지를 연구해온 미 국방부를 지속적으로 취재해왔다. 여기에는 미군 시설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고, 광전지(photovoltaic) 연구, 휴대용 태양광 전지, 태양광이 지원하는 마이크로그리드 등의 기사를 쏟아냈다.

 

미군, 태양광, 지열, 파력 발전, 우주 태양광까지 연구하는 중

미 국방부는 2000년부터는 하와이 오하후에 있는 미 해병대 기지에서 바다의 파도를 사용한 파력발전도 연구하고 있으며 2010년에 시험 가동도 했다. 미국과 푸에르토리코 해안에는 연간 약 1170테라와트를 발전할 수 있는 파력 발전 자원이 있으며, 이는 미국 연간 전력 수요의 상당 부분을 감당할 수 있는 양이다.

클린테크니카에 의하면, 미국 전력연구소(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는 2000년부터 매년 미국의 파력 발전 현황을 평가해왔다고 한다. 

한편, 지난 2013년 미 육군 공병대는 70억 달러(약 9조3142억원) 규모의 재생 에너지 조달 라운드에 17건의 풍력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미 조달청(GSA)과 국방부의 파트너십은 보도자료에서 "재생 에너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추진하려고 한다. 이는 모든 연방 기관이 2030년까지 100% '탄소 오염 없는 전기'를 조달하라는 바이든 대통령의 2021년 지침과 일치하며, 수요의 최소 절반은 현지에서 충당해야 한다는 규정도 있다"고 밝혔다. 

클린테크니카에 의하면, 원자력도 '탄소 무공해' 규정에 속하지만, 미군 예산이 값비싼 신규 핵 시설을 지원할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한다. ‘탄소 무공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면 재생 가능한 천연 가스도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탄소 포집 및 격리 프로젝트는 아직 미국에서 뿌리내리지 못했다. 부분적으로는 비용이 많이 들고, 부분적으로는 소스에서 저장 시설까지 새로운 파이프라인이 필요해서 실현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탄소를 포집해서 시멘트 및 기타 제품으로 재활용하는 것도 또 다른 방법이다. 

국방부 차관 브렌던 오웬스(Brendan Owens)는 “2년 전 바이든 대통령이 행정 명령 14057호에 서명했을 때 우리는 국방부가 연방 정부 운영을 친환경화함으로써 미국의 리더십을 입증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며, "이번 파트너십은 기후 위기를 해결하고 국방부 운영의 임무 회복력을 보장하는 깨끗하고 안정적이며 저렴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망 전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재생 에너지에 관해, 오웬스 차관은 이 기회를 이용해 궁극적인 국방부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인 우주 태양광 분야에도 관심을 집중했다. 오웬스 차관은 "2009년에 미 해군 연구소에서 이 기술을 조사한 후 이 하드웨어가 우주 궤도를 도는 태양 전지판에서 재생 에너지를 포착해서 지구로 보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런 우주 태양광 기술은 트럼프 행정부 시절 창설한 미 우주군이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