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800개 넘는 석탄발전소, 단계적 폐쇄 가능해...IEEFA 연구

2024-06-19     유미지 editor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는 석탄 발전소의 10분의 1이 2030년까지 폐쇄될 예정이지만 좀 더 노력을 한다면 800기 이상의 석탄화력 발전소가 폐쇄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를 발표했다./ IEEFA

개발도상국에 위치한 800개 이상의 석탄 화력 발전소가 2010년 말부터 폐쇄되고 수익성 있는 태양 에너지와 같은 청정에너지로 대체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기존 석탄 발전소의 10분의 1이 2030년까지 폐쇄될 예정이지만 기회를 파악하고 좀 더 노력을 한다면 더 많은 발전소가 폐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의 주요 저자인 폴 야콥슨(Paul Jacobson)은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잘 정의되고 계약되었으며 수익성이 있는 석탄-청정 에너지로 전환하는 거래의 파이프라인이 부족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2000 기가와트에 달하는 석탄 발전으로 매년 약 155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있다. 작년 10월, NGO 연합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글로벌 탈석탄 리스트에 있는 총 1064개 회사 중 490개가 새로운 석탄 발전소, 탄광 또는 신규 석탄 운송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막기 위해 2030년까지 약 150개의 석탄 발전소를 폐쇄하고 가스 생산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비욘드카본 이니셔티브,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인도네시아가 기후투자기금에 약 40억달러(약 5조5000억원) 규모의 탈석탄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석탄발전소 폐쇄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발전소를 폐쇄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며, 특히 발전소가 아직 부채를 갚고 있거나 수십 년 동안 전력을 공급하기로 한 전력 구매 계약(PPA)에 묶여 있는 경우에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PPA에 묶여있지 않은 발전소는 600곳

IEEFA가 식별한 800개의 전환 가능한 목표에는 30년 전에 건설된 약 600개의 발전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상당수의 발전소는 부채를 갚았고 더 이상 장기 PPA에 묶여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재생 에너지의 이익률이 늘어 석탄 발전소를 대체하는 비용을 충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30년 이상된 노후 발전소뿐만 아니라 15년에서 30년 사이에 건설된 나머지 200개의 발전소를 폐쇄하는 것도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베트남을 포함해 여전히 새로운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는 국가에는 큰 재정적 도전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 싱크탱크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Global Energy Monitor)의 데이터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2020년부터 총 5.6기가와트(GW)에 달하는 9개 장치가 가동되었고,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총 10.5GW에 달하는 또 다른 27개 석탄 발전소가 가동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야콥슨은 보조금을 악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신재생에너지 건설을 위해 방법을 모색하면서 새로운 석탄발전소를 계속 건설하는 기업들이 보조금과 같은 이익을 얻도록 해서는 안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