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마존 포함 244개 기업연합, 일본 정부에 2035년까지 60% 재생전력 확대 요청

2024-07-03     이재영 editor

일본의 메이저 기업 244개 기업 연합체가 정부에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직접 요구하고 나섰다. 정치권 눈치 때문에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장하지도 못하고, ‘ESG 공시 2029년 연기’ 카드를 내밀며 내수용 규제 완화에만 신경쓰는 국내 기업과 정반대 움직임이다.     

애플과 아마존 일본지사 등 일본 내 공급망 탈탄소화를 위한 244개 기업 연합체인 ‘일본 기후 리더스 파트너십(JCLP, The Japan Climate Leaders Partnership)’은 일본 정부에 2035년까지 2013년 대비 75%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을 요청했다고 2일(현지시각) 블룸버그가 밝혔다

이 연합체는 “2035년까지 일본의 전력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60%까지 확대하라”고 권고했다. 이를 위해 옥상 태양광 설치 속도를 높이고,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마존, 구글이 일본 정부에 청정 전력 압박하는 이유

일본 기업들이 직접 나서 정부를 압박하는 이례적 상황은 글로벌 기업들의 청정 전력에 대한 압력 때문이다. 올해 들어 아마존, MS,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의 일본 기업에 대한 청정 전력 압박은 거세지고 있다. 그 이유는 이들 다수가 지난 몇 달 사이에 일본에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발표한 바 있기 때문이다. MS는 29억달러(4조원), 아마존은 2조2600억엔(약 20조원), 오라클도 80억달러(약 11조원) 등의 규모였다. 하지만, 해외 상황과 달리 일본의 재생에너지 환경이 좋지 않다보니, 불만을 직접적으로 표시하거나 아예 직접 투자에 나서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3월 “일본은 민간 부문에 녹색 전력을 공급할만큼 빠르게 움직이고 있지 않다”며 “일본에는 재생가능 전력을 찾는 많은 회사들이 있는데, 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더 많은 공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마존은 전 세계적으로 500개 이상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발표했지만, 아시아 전역에서 청정 전기를 조달하는 것이 어렵다고 강조한 바 있다. AWS의 아태지역 에너지 및 환경책임자인 켄 헤이그는 도쿄에서 열린 재생에너지기관(Renewable Energy Institute) 컨퍼런스에서 “2022년에 인도네시아 국영 전력회사와 체결한 태양광 PPA 계약이 일본에서 조달한 누적 전력량 전체보다 더 크다”면서 “(아시아 지역의 재생에너지 구매 어려움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정책과 시장의 문제”라고 밝히기도 했다.  

구글 또한 지난 5월 24일(현지시각) 일본에서 처음으로 태양광 발전을 위한 기업용 PPA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그 규모는 60MW에 달했다. 

 

2022년에도 기시다 총리 면담, 기후 정책 강화 촉구

2022년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면담한 JCLP 그룹 공동대표단/ https://japan-clp.jp/archives/10433

한편, 2009년부터 활동해온 이 연합체는 2022년 4월에도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면담하고, 화석연료 사용을 빨리 줄여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당시 이들은 “새로운 자본주의를 위해서는 1.5도 목표에 뿌리를 둔 그랜드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여러 대책을 주장한 바 있다.

대표적 대책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인식보다 ‘재생에너지 최우선 원칙’에 입각한 제도 개선 ▲송배전망 정비 ▲해상풍력 산업 조기 확대 ▲영농형 등 잠재력 높은 태양광 발전 개발 ▲주요한 배출 주체 전체에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탄소세 및 배출량 거래를 활용한 중소기업 부담 경감 대책 ▲탄소가격제에 대한 국민의 이해 높이기 ▲탄소가격을 활용해 1.5도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인프라 투자 등이었다. 

스미모토신탁은행, 사무자동화(OA)기기 대표주자인 리코그룹, 중견 종합건설회사인 토다건설, 1위 제약회사인 다케다제약 등 일본의 메이저 기업들이 이 단체의 공동대표 등을 맡고 있다.   

이 밖에 이들은 현재 일본이 향후 10년의 전력 믹스를 설정하기 위한 국가 에너지 전략을 검토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도, “화석연료 지원 정책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유틸리티 및 연료 공급업체 외에도, 기후과학자 및 청년층그룹이 논의 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일본은 2030년까지 배출량을 2013년 대비 46%로 줄이겠다는 NDC 목표를 밝힌 바 있으나, 현재 일본은 탈탄소화보다는 에너지 안보에 더 집중한 계획으로 평가받고 있어 ‘클라이밋 액션 트래커’에 의해 ‘불풍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