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설 가동, ESS 붐 일으키나
지난 6월 28일(현지시간) 중국에서 795MW 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설(ESS)이 가동됐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산둥성 동영시에 위치한 이 발전소는 진후이신에너지(晋舟新能源)가 개발한 것으로 최대 100kwh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하루 동안 약 1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그동안 중국은 재생 에너지 부문을 강화하고 전력망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기후 싱크탱크 카본 브리프(Carbon Brief)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전력망 연결 배터리에 대한 투자가 364% 증가하였으며 금액은 750억위안(약 14조원)에 달했다. 2023년 3월 기준 35.3GW의 용량을 갖춰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저장 장치를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지난해 5월, 중국은 2025년 말까지 에너지 저장 목표를 이전 목표보다 33% 증가한 최소 40GW로 상향 조정했다. 이 목표는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중국의 광범위한 계획과 일치한다.
에너지 저장 분야는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재생 에너지의 전력 생산량이 간헐적이고 일정하지 않을 때 전력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중국 주정부는 이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가격 개혁과 기술을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지방 정부들은 재생 에너지 발전소에 에너지 저장장치(ESS)를 건설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 빠른 용량 증가를 주도했다.
그러나 규제가 심한 전력 시장은 특히 태양광 및 풍력 단지에서 ESS 시설을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데 어려움을 더했다. 중국전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ESS 시설은 하루 2.18시간, 독립시설은 하루 2.61시간만 가동되는 등 활용도가 저조했다. 이에 비해 산업용 및 상업용 공장의 ESS 시설은 하루에 14.25시간 작동했다.
중국의 정책을 연구하는 비즈니스 자문 회사인 트리비움 차이나(Trivium China)의 분석가인 코시모 리스(Cosimo Ries)는 로이터통신에 “재생 에너지 공장마다 ESS 설치를 의무화하는 정책은 프로젝트 비용을 증가시키고 종종 유휴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전력 가격이 시간대별로 충분히 유동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젝트는 실제로 수익을 낼 수 없다”라고 리스는 분석했다.
에너지 저장장치 발전에 용이한 중국
전 세계 전기차의 60%가 판매되는 중국은 에너지 저장장치의 수요 급증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국의 금속 정보 제공업체 상하이 금속 시장(Shanghai Metals Market)에 따르면, 2023년 말부터 6월 중순 사이에 사용된 배터리 비용이 약 5분의 1로 감소하는 등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최대 수요 기간에 가격을 인상함으로써 전기 사용을 억제하는 ‘최대수요억제 요금제(peak-valley pricing)’ 도입으로, 저장 전력 공급업체는 피크 시간대에 더 높은 요금으로 저장된 전력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결국 에너지 저장장치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질 것이라는 의미다.
우드 매켄지(Wood Mackenzie) 아시아 태평양 지사 전력 연구 책임자인 알렉스 휘트워스(Alex Whitworth)는 “최대수요억제 요금제 도입으로 인해 광둥성과 같은 해안 지방에서 kwh당 최대 0.9위안(약 170원)의 일일 가격 차이가 발생했으며, 최고 가격인 1.1868위안/kwh(약 224원)과는 4배 이상 가격 차이가 난다”고 전했다. 이는 “배터리와 펌프 수력 저장 장치 모두의 사용을 장려할 수 있을 정도”라고 덧붙였다.
또한 중국은 초기 비용이 높고 공급망이 덜 성숙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펌프 수력 발전 프로젝트를 확대해 새로운 ESS 기술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펌프 수력 발전(Pumped Hydro)은 기존에 있던 기술로 중국 내 BESS(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보다 용량이 60% 이상 크지만, 서로 다른 고도에 위치한 저수지가 있어야 한다는 지리적 제약과 긴 리드 타임이 단점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들은 배터리 저장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장 개혁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전했다. 이들은 또한 비용은 고객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앞으로 중국 정부의 대응이 어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