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전체 ESG공시 2026년으로 앞당겨지나...은성수 금융위원장, “지배구조와 맞춰서 앞당길 수 있는지 고민해보겠다”

2021-02-18     박란희 chief editor
17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한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ESG 정보공개 일정과 관련한 민형배 의원의 질의에 "2026년으로 앞당길 수 있는지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국회 영상회의록시스템 캡처

 

2030년으로 예정된 코스피 상장기업 전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공개 의무화 일정과 관련,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026년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방법을)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17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ESG 공시 관련해서, E(환경)와 S(사회)는 공시 의무화가 2030년, G(지배구조)는 2026년으로 돼 이는데, ESG를 모두 26년으로 앞당기면 좋겠다”는 민형배(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거버넌스(지배구조)는 그동안 쭉 해왔기 때문에 2026년으로 잡았고, E와 S는 처음 시작하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30년으로 잡았다”며 “거버넌스와 같이 맞춰서 당길 수 있는지 고민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정무위 이용우(더불어민주당) 의원 또한 ESG 정보공개 일정과 관련, “유럽을 보면 2023년까지 ESG 정보공개 의무화를 예고하고 있고 영국도 기후변화를 공시하게 돼있고, 우리나라도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이라며 “금융위 ESG 로드맵을 보면, 지배구조보고서와 달리, E와 S는 별도로 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 의원은 “지속가능보고서를 2026년부터 자율 공시하고 2030년부터 의무화하면 다른 사람들이 보면 안 하겠다로 읽히지 않겠는가”라며 “공시제도 자체도 별도 보고서가 아니라 투자자들이 주로 보는 사업계획서에 통합되는 게 맞고, 지배구조보고서가 26년까지 전체 의무화라면 ESG 전체 의무화도 같이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투자자인 국민연금과 달리, 금융위의 경우 기업 전체를 상대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은 부담 준다고 하소연을 하고 있다”며 “(2026년 공시 의무화)이 부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사무국장은 본지 칼럼을 통해 코스피 상장기업 전체의 E(환경)·S(사회) 보고서 공시를 2026년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은 위원장은 녹색금융공사를 금융위 안에 별도 설치할지, 녹색금융센터를 지정할지 묻는 민형배의원의 질의에 대해, “별도의 공사가 있는 게 좋기는 한데, 관계부처와 협의가 필요해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며 “친환경 산업을 지원하는 ‘녹색금융센터’를 먼저 신설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센터를 설치할 경우 어느 은행이 맡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는지 묻는 민 의원의 질의에 은 위원장은 “아무래도 정책금융기관인 산업은행이 적절해보인다”고 밝혔다. 이동걸 산업은행장도 은 위원장 의견에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