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P파리바, 삼림벌채 일삼는 기업과 거래하지 않기로

2021-02-19     김효진 editor
프랑스에 본점을 둔 BNP파리바그룹이 산림벌채 제로화 전략을 가진 생산자와 기업에게만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거라고 밝혔다./ BNP파리바

프랑스에 기반을 둔 다국적금융사인 BNP파리바그룹은 삼림벌채에 대한 금융 정책을 정의 및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금융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강화된 정책 아래, BNP파리바는 아마존과 브라질 세라도(Cerrado) 지역에서 소고기나 콩 등을 재배하거나 소매하는 생산자, 무역업자들이 늦어도 2025년까지 생산지와 공급망에서 삼림벌채를 제로화(0)한다는 전략 등을 제시할 경우에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구체적으로 BNP파리바는 아래와 같은 조건과 원칙을 제시했다.

▲  2008년 이후 아마존에서 개간 또는 용도 변경한 땅에서 소고기나 콩을 생산하거나 거래하는 고객에게는 대출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  고객은 2008년 이후 브라질 정부가 실시한 단속 유예기간의 규정을 따라야한다.

▲  2020년 1월 1일 이후 세라도에서 개간되거나 용도 변경한 땅에서 고객들이 소고기와 콩을 생산하거나 거래하지 않도록 글로벌 기준에 근거하여 권장한다.

▲  고객들에게 2025년까지 소고기와 콩 거래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완전히 추적가능하도록 요구한다.

▲  축산농가 고객들이 'FARMS 이니셔티브의 책임있는 최소한의 기준(FARMS Initiative’s Responsible Minimum Standards)'을 참고 삼아 동물 복지를 더 고려하는 시스템으로 축산농법을 변경하도록 권장한다.

'FARMS 이니셔티브'는 금융기관이 육류, 우유, 계란 등을 생산하거나 공급하는 고객들에게 동물 복지를 보장할 수 있게 마련된 기준이다. 세계농업 컴패션(Compassion in World Farming)을 포함한 글로벌 동물 보호 단체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유엔(UN) 경제사회이사회의 특별협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금융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고객에게 산림벌채 제로화 약속을 요구하고 벌채에 대한 까다로운 추적 기준을 부여한 것은 글로벌 은행 중 BNP파리바가 처음이다. 이와 관련, 앙트완 사이어(Antoine Sire) BNP파리바 사회공헌팀(Corporate Engagement) 책임자는 "우리의 정책을 시작으로 생물다양성 보호에 실질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위해 멀지 않은 미래에 다른 금융기관들도 유사한 정책을 확립해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브라질, 독일, 미국 등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진행해 2020년 사이언스(Science) 학술지에 발표된 '브라질 농업의 썩은사과(The Rotten apples of Brazil’s Agriculture)'라는 논문은 아마존과 세라도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소고기와 콩이 불법 삼림벌채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 예로, 유럽이 브라질로부터 수입하는 콩의 규모는 1360만톤(유럽 콩 수입량의 41%)인데, 이 중 69%가 아마존과 세라도에서 생산되었으며 많은 경우가 산림벌채에 의한 것이다.

소고기와 콩의 막대한 수입으로 브라질 산림벌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는 유럽에게 있어 프랑스 소재의 BNP파리바의 새로운 정책이 유럽 사회에 경각심과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