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ESG정책 브리핑】무탄소에너지(CFE) 글로벌 작업반 공식 출범 등
◆ 데일리 ESG 정책_24.10.8.
한국이 글로벌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무탄소에너지(Carbon-Free Energy, 이하 CFE) 이니셔티브의 글로벌 작업반이 10월3일 공식 출범했다. 아울러, 한국이 내년도 청정에너지장관회의(Clean Energy Ministerial, 이하 CEM)의 의장국을 맡는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브라질에서 10월1일부터 4일까지 개최된 CEM 및 G20 에너지장관회의에서 다양한 무탄소에너지 활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CEM에서는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 글로벌 작업반 신설을 공식 발표하고, 별도의 발족 회의를 개최했다. CFE 글로벌 작업반은 CFE 이행 기준 및 활용 방안 등을 논의하는 협의체로, 현재 한국, 일본, UAE, 체코,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5개 국가·국제기구가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참여국이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CFE 이니셔티브는 2023년 9월 UN 총회 계기 윤석열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최초 제안한 이후, 10개 국가 및 국제기구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으며, 제28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23.12월) 결정문, IEA 각료회의 공동선언문 등에서도 모든 무탄소 에너지원의 기술 중립적인 활용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이번 CEM에서 회원국들의 지지에 힘입어 한국이 내년도 제16차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의장국을 수임하게 됨에 따라,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CFE 이니셔티브에 대한 공감대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10.4일 개최한 G20 에너지장관회의에서는 ▲바이오연료, 수소와 같은 지속 가능한 연료 확대 ▲공정한 에너지전환 ▲신흥 개도국의 에너지 계획 수립 지원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으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각국 상황에 맞는 에너지시스템의 유연성과 안정성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원전이 지속 가능한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
2.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자개발은행 조달설명회 참가 기업 모집
산업부와 기획재정부가 공동 주최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관하는 2024 다자개발은행 조달설명회(MDB Project Plaza)가 올해 11월26일~27일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개최된다.
다자개발은행(Multilateral Development Bank)이란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개발도상국과 재원 공여국이 참여하여 개도국 경제개발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은행이다.
이번 행사는 다자개발은행(MDB) 조달시장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여 유망 사업을 수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MDB와 각 국 발주처에 우리 기업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 2011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MDB 사업 발표회(프로젝트 포럼), 설명회와 1:1 상담회로 구성되며,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총 6개 MDB*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 발주처가 참석할 예정이다.
MDB 사업 발표회(프로젝트 포럼)에서는 국제기구 조달 부서와 사업 분야별 담당자들이 MDB 사업 참여 기회와 조달 절차 등을 안내하고, MDB 사업 설명회에서는 각 국가 발주처가 에너지, 전력 분야 등 유망 사업을 소개한다. 또한, MDB 신탁기금 설명회를 통해 우리 기업에 MDB 신탁기금을 알리고 사업 참여 활성화를 지원한다.
아울러, 1:1 상담회를 진행하여 우리 기업이 다자개발은행 및 해외 발주처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사업 수주방안 등을 상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다.
조달설명회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공식 누리집(http://mdbpp.or.kr)을 통해 10.7(월)~11.15(금) 간 참가 및 상담 신청이 가능하다.
윤석열 대통령 내외의 필리핀 국빈 방문과 한-필리핀 정상회담을 계기로, 산업부와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은 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필리핀정부와 공급망(필 통상산업부, 환경천연자원부), 원전(필 에너지부) 등에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전기를 마련했다.
먼저, 산업부는 금번 '핵심 원자재 공급망 협력 MOU' 체결을 통해 니켈(생산량 세계 2위), 코발트 등 광물자원부국 필리핀과 공급망 강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최근 미·중 전략 경쟁, 글로벌 경제 분절화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 속에서, 금번 MOU 체결로 양국 간 상호호혜적인 공급망이 구축되고 급작스런 공급망 교란 상황에도 공동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수원은 필리핀 에너지부와 '필리핀 바탄원전 건설 재개 타당성조사 협력 MOU'를 체결함으로써 1986년 이후 중단된 바탄원전의 건설 재개 관련 경제성 및 안전성 등 사업 추진의 타당성을 조사할 계획이다.
같은 날 오후 양국 경제단체(한국경제인협회, 필리핀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양측 경제계 인사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한-필리핀 비즈니스 포럼'에서 원전·에너지, 건설·인프라, 항공정비·방산, 농업, 유통 분야 등 총 13건의 기업과 경제단체 간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
산업부는 금번 체결된 기업 및 경제단체 간 MOU들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