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발자국’ 비교가 더 쉬워집니다... 국표원 탄소중립 표준화 나서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이 올해 말까지 ‘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을 수립키로 했다. 산업별 저탄소 기술의 구현방법, 시험평가 기준 등 탄소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수치화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저탄소 사회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선 기술개발 선행이 필수다. 국표원에서 표준개발에 착수하게 되면 기업들이 골머리를 앓아왔던 탄소 저감 기술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기술 개발의 가이드라인이 세워지기 때문이다. 국표원은 이를 위해 작년 예산보다 20% 증가한 62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분야는 ▲에너지 전환 ▲신유망 저탄소 산업 ▲저탄소 전환 핵심 산업 ▲표준화 기반 강화로 구성된다. 표준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도 대거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린수소 사용을 위해 철강 부문에는 포스코가 참여했고, 소재 재활용을 위해선 석유화학 부문 현대오일뱅크가, 생산구조 전환에는 시멘트 부문 삼표, 공정효율 향상에는 기계 부문 서광공업이 국표원과 손잡았다. 총괄위원회의 공동위원장으로는 두산중공업이 참여했다.
산업 외에도 탄소발자국 표준화 과제와 소재 재사용 등 제각각으로 관리, 계산되던 기준도 표준화 작업이 이뤄지면서 수치화 및 비교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분야를 맡게 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해외 탄소국경세 조치 및 녹색금융제도에 대응하고, 순환경제 구현을 위해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대전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에 나설 예정이다. 국표원 이상훈 원장은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본격적으로 기술개발에 나섰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서 우리 기술의 국제 표준화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국제 기준과 궤를 같이하기 위해 미국과는 첨단산업과 탄소중립 분야를, 독일과는 스마트기술, 미래차 분야에서 표준을 맞춰가기로 했다. 한·중·일과도 표준협력을 강화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