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4주차 해외 ESG 핫클립
<임팩트온>은 지난주 지속가능경영, ESG 분야 뉴스 클리핑을 간단히 정리해 매주 목요일 제공합니다.
Environment(환경)
EU 산림전용방지법 1년 연기안, 유럽의회서 통과
EU 산림전용방지법(EUDR)이 예정보다 1년 늦춰졌다. 유럽의회는 본회의에서 EUDR 개정안을 찬성 371표, 반대 240표, 기권 30표로 통과시켰다. 시행 시기는 2024년 12월 30일에서 2025년 12월 30일로 연기됐다. 의회를 통과한 개정안은 이제 유럽집행위원회, 이사회, 의회 간 3자 협상에 들어갔다. 최종 법제화를 위해서는 EU 이사회와 의회의 승인을 거쳐 EU 공식 저널에 게재돼야 한다. 환경단체들은 투표로 통과된 개정안이 EUDR을 약화시켜 주요 환경 법률을 훼손할 것이라며 일제히 반발했다.
낙농 강국 덴마크, 2030년부터 세계 첫 ‘가축 탄소세’ 부과
덴마크가 소를 비롯한 가축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규제하기 위한 ‘가축 탄소세’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온라인 매체 프라이미디어 플러스에 따르면, 덴마크 정부는 오는 2030년부터 가축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에 세금을 부과하는 가축 탄소세를 도입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덴마크 축산 농가에서는 메탄가스 톤당 최대 300크로네(약 5만원)에 달하는 세금을 내야 한다. 덴마크 정부는 가축 탄소세를 점차적으로 올려 오는 2035년까지 톤당 750크로네(약 14만원)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일본, 2040년 원전 비율 20%로 유지 방침··· 가동원전 2배 늘려야 가능
일본 정부가 2040년도 전력 공급 중 원자력 발전 비율을 20%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이는 재가동 원전을 현재 기준 2배 이상 늘려야 도달 가능한 수치이다. 경제산업성은 올해 안에 정리할 에너지기본계획의 전원 구성 목표에서 원전 비율을 이같이 결정할 방침이다. 2030년 원전 비율 목표인 20∼22%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요미우리신문은 경제산업성이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를 위해 지열발전 개발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LG·테슬라 속한 美전기차·배터리 연합체 “세액공제 필요”
LG와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의 연합체인 미국 제로 배출 교통 협회(ZETA)가 전기차 보조금 정책 유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ZETA는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성명에서 “전국적으로, 특히 오하이오, 켄터키, 미시간, 조지아와 같은 배터리 벨트 주에서 엄청난 일자리 성장과 새로운 경제 기회를 창출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일자리를 미국에 만들고 실제로 중국과 경쟁하기 위해 싸우려면 그 목표에 맞춘 수요 신호, 즉 새로운 친환경 차량 세금 보조와 같은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블랙록 등, SAF 인증서 구매⋯ 지속가능 항공 구매자 연합(SABA) 참여
블랙록(BlackRock), 블록(Block), 삼사라(Samsara), 리플(Ripple)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지속가능 항공연료(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인증서를 구매하며 SAF 업계에 자금을 제공했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지속가능 항공 구매자 연합(Sustainable Aviation Buyers Alliance, SABA)’에 참여해 총 2억달러(약 2800억원) 규모의 SAF 인증서를 구매했다. 해당 SAF는 알래스카 항공 여객기에 사용될 예정이며, 인증서를 통해 기업들은 출장으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상쇄할 계획이다.
CATL, 영하 40도 견디는 나트륨 배터리 내놓는다
중국 CATL이 영하 40도에서도 상온처럼 방전되는 전기차용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내년 내놓는다. 중국 언론 차이롄서에 따르면, 세계청년과학자서빗에서 CATL의 우카이 수석과학자는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내년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우 수석과학자는 “CATL의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개발됐다”며 "영하 40도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방전되며, 극한 지역에서 대규모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본프리, 이산화탄소로 만든 친환경 광물 ‘엔듀로칼’ 출시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 본사를 둔 카본프리(CarbonFree)가 세계 최초로 이산화탄소(CO₂)를 활용해 제조한 친환경 광물 제품 ‘엔듀로칼(endurocal™)’을 출시하며 지속 가능한 산업 재료 시장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이 제품은 기존의 탄산칼슘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 대안으로 페인트, 플라스틱, 종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지녔다. 카본프리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스카이사이클(SkyCycle™)과 스카이마인(SkyMine®)이 있다.
Social(사회)
美 법무부, 구글에 크롬 매각 명령 추진⋯ 반독점 규제 강화
미국 법무부(DOJ)가 구글 모회사 알파벳에 자사의 인터넷 브라우저인 크롬(Chrome) 매각을 강제하도록 판사에게 요청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DOJ는 올해 8월 구글이 검색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했다고 판결한 판사에게 인공지능(AI) 기술과 안드로이드(Android) 스마트폰 운영체제(OS)와 관련된 이 같은 조치를 요청할 예정이다. 구글은 리앤 멀홀랜드 구글 규제 담당 부사장의 성명을 통해 “법무부가 이번 사건의 법적 쟁점을 넘어선 급진적 의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해를 끼칠 것”이라고 반발했다.
GM, 대규모 정리해고 시작, 정규직 포함 美서 약 4천명 해고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조직 운영을 간소화하기 위해 미국 사업부문에서 또 1천 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GM은 성명을 통해 직원 감축을 실시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구체적인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GM은 “경쟁적인 시장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속도와 우수성을 최적화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조직을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Governance(지배구조)
국제표준화기구(ISO), COP29에서 ESG 구현 지침 발표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ESG 구현 지침(IWA 48)’을 발표하며, 전 세계 기업들이 ESG 성과를 간편하게 측정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이번 지침은 유럽연합의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 영국의 강제 노동 방지법(Modern Slavery Act),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IFRS S1 및 S2 공개 요구 사항 등 늘어나는 ESG 규정을 일관되게 적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ISO는 “ESG 관련 규제가 지난 10년 동안 155% 증가해 기업들이 복잡한 규제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며, 128개국의 전문가 1900명이 참여해 이번 지침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미국 반대에⋯ 바젤, 은행권 기후위기 공시 의무 완화한다
미국 중앙은행(Fed) 등 미국의 금융 규제 당국이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의 기후위기 공시 방침에 반대표를 행사했다. 바젤위원회는 Fed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관련 방침을 완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Fed의 반대에 바젤위원회는 은행들의 기후위기 공시 의무화 계획을 대폭 수정했다. 글로벌 은행의 공시 규정에 기후위기 관련 요소를 추가하려던 바젤위원회의 작업은 무기한 보류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젤위원회는 19일에 회의를 열어 해당 공시 프레임워크를 다시 논의한다고 밝혔다.
ESG 공시 기준 간 상호운용성 강화⋯ CDP·EFRAG, 내년 초 매핑 지침 공개
ESG 공시 기준들이 상호운용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글로벌 환경정보 공시 플랫폼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와 유럽 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의 제정기구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은 CDP의 공시 기준과 ESRS 간 높은 수준의 호환성을 확인했으며, 특히 기후 공시 기준에서 상당 부분이 일치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기업들이 CDP나 ESRS 중 한 곳에 먼저 정보를 공개하면 자동으로 다른 쪽 기준도 충족되도록 하는 게 목표이다. 양 기관은 2025년 초에 CDP 질문지와 ESRS 기준 간 구체적인 매핑 지침을 공개할 예정이다.
Supply Chain(공급망)
인도, 미국 재생에너지 핵심 파트너로 부상
미국의 재생에너지 파트너로 인도가 떠올랐다. 태양광 전문매체 솔라쿼터는 글로벌 투자운용사 밸류퀘스트(ValueQuest)의 조사에서 인도가 미국의 재생에너지 부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했다. 인도의 주요 강점으로는 △제조 역량 △비용 경쟁력 △숙련된 인력이 꼽혔다. 특히, 미국이 중국 공급 의존을 줄이려는 상황에서 인도의 안정적인 공급망 제공 능력이 파트너로 거론되는 이유로 소개됐다.
美규제에 화웨이 장비공급 막혀 당분간 5나노 이상 칩 생산 한계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로 첨단 제품을 만들지 못하면서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멈췄고, 이에 따라 2026년까지 첨단 칩 생산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의 제재로 인해 화웨이가 칩 개발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화웨이는 엔비디아의 대항마로 개발 중인 어센드 프로세서 두 개를 현재 7㎚(1㎚=10억분의 1m) 아키텍처로 설계하고 있는데, 미국 주도 제재로 화웨이의 칩 제조 파트너사인 SMIC가 ASML에서 최첨단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조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ESG Investing(ESG 투자)
美전력망 시장, 트럼프 시기 역주행 전망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로 재생에너지 관련주가 급락하는 가운데, 전력망 관련 기업들이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했다. 블룸버그는 자산운용사들이 트럼프의 반(反)ESG 정책 기조에도 전력망 부문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캐나다의 TD증권은 대선 다음날 “전력망과 관련 설비가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 최적의 투자처”라고 분석했다. 뉴욕 헤지펀드 일렉트론 캐피털 파트너스의 란 저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미국의 전력 수요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라며 “장기적으로 무탄소 에너지와 연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뱅가드, 대리투표 두 배 확대⋯ ESG 선택권 투자자에게 넘긴다
세계 최대 뮤추얼펀드 운용사 뱅가드가 ESG 관련 의결권 행사 방식을 투자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하는 대리 투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했다. 2025년부터는 약 400만 명의 개인 투자자들이 2500억달러(약 384조원) 규모의 주식에 대해 의결권 행사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고 로이터 등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이는 ESG를 둘러싼 찬반 양측의 압박을 피하려는 시도로 해석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뱅가드가 ESG에 반대하는 보수 진영의 반발은 피하면서도, 기후 변화와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헌신하는 고객들은 만족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브룩필드, SK E&S 보령 블루수소 사업 자금지원 검토
브룩필드자산운용이 SK이노베이션 E&S가 추진 중인 보령 블루수소 사업에 투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이 거래는 규모가 최소 수천 억원에서 조 단위까지도 언급되고 있는 딜(deal)이다. 보령 블루수소 사업은 부지 정리, 인허가 작업 등을 마쳤고, 사업 주체(보령블루하이)도 설립된 상태이다. 청정수소 발전 사업권을 확보하면 본격적인 설비 구축 작업이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