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수소경제 성장세 더뎌...공적자금 의존도 높아
- 수소경제, 공적자금만 의존…높은 생산 비용에 발목 - 부족한 수소는 국외서 조달...수입 비중은 최대 70% 전망
독일의 수소경제가 정부 지원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으나, 시장 자생력은 아직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최대 전력기업 에온(E.ON)은 29일(현지시각) 발표한 H2-Bilanz 보고서에서 "엄격한 규제와 높은 전력 가격으로 인해 민간 투자가 제한적"이라며 "현재 성장은 정부의 IPCEI(유럽공동이익 프로젝트) 지원이 유일한 동력"이라고 밝혔다.
IPCEI는 역내 경제와 산업 성장, 고용 창출,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대규모 공공 지원 프레임워크다. 유럽의 주요 정책 목표와 관련된 대규모 연구개발혁신 프로젝트에 예외적으로 국가 보조금 지급을 허용한다.
수소경제, 공적자금만 의존…높은 생산 비용에 발목
독일 정부는 철강과 화학 등 산업계의 탈탄소화를 위해 풍력과 태양광으로 생산하는 그린수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계획된 전해조 설비용량 11.3GW(기가와트) 중 건설 중이거나 투자 결정된 프로젝트 비중은 3%에서 9%로 증가했다. 수소 생산을 위한 전해조 설비용량은 111MW(메가와트)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 2월 대비 68% 증가한 수치로 3개 대형 프로젝트 가동이 주요 동력이 됐다고 에온은 설명했다. 9040km에 달하는 핵심 수소 네트워크 구축에는 240억유로(약 35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에온은 공적자금과는 달리, 민간 자본이 이 사업에 쉽게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짚었다.
가브리엘 클레멘스 에온 수소사업부 대표는 "일부 산업에서는 수소 전환이 탄소배출을 줄일 유일한 방법이지만, 그린수소의 정의가 엄격해 전력조달 비용과 수소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컨설팅사 맥킨지는 2030년 독일의 수소 생산비용이 kg당 10달러(약 1만4000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풍부하고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들의 수입 수소 가격은 kg당 3~8달러(약 4000~1만2000원) 수준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철강업계에서도 비싼 가격 등의 문제로 독일의 철강사 티센크루프, 아르셀로미탈 등이 녹색 철강 생산을 위해 수소에 수십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을 철회하고 있다.
부족한 수소는 국외서 조달...수입 비중은 최대 70% 전망
독일은 부족한 수소를 국외에서 조달할 예정이다. 독일 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95~130TWh(테라와트시)의 수소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중 50~70%를 수입할 계획이라고 에온은 밝혔다.
독일은 영국, 노르웨이, 네덜란드와의 기존 무역관계를 활용하고, 남부 유럽, 북아프리카, 호주, 캐나다, 칠레와도 새로운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쾰른대학교 에너지경제연구소(EWI)의 분석에 따르면, 2032년까지 기존에 계획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60GW 이상의 수입이 가능하다. 에온은 50% 가동률 기준으로 연간 270TWh의 수소를 수입할 수 있으며, LNG 터미널을 개조하면 최대 100TWh를 선박으로 추가 운송할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