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반세기 지배하는 어젠다 된다" 화우 웨비나 'ESG 쟁점과 동향'
법무법인 화우는 지난25일 'ESG 쟁점과 동향‘이라는 주제로 웨비나(웹세미나)'를 주관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와 김창섭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조준오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가 참석했다. 연사들은 ESG 중 환경은 장기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외교부 유연철 기후변화대사
파리협정, 시간적·공간적 확장 가져와
신기후체제서 살아남으려면 기후변화 대응은 필연적
유연철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1991년 유엔기후변화 협약을 제정하는 기후변화 협상에 최초로 참여하는 등 기후외교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다. 유 대사는 "2005년 발효된 교토의정서는 전 세계를 기후협정으로 끌어들이는데 실패했다"며 "파리협정은 개도국을 모두 포함한 공간적인 확대체제로 신 기후체제의 포문을 열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가 장기적 이슈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설명했다. 각 국은 2050년까지 LEDS(장기 저탄소 발전 전략) 등을 발표해야 하기에 단기 이슈로 끝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파리협정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시간적·공간적 확장으로 지속가능성이 대두된 건 당연한 수순이었다. 유 대사는 "2015년 파리협정과 지속가능발전 목표인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가 함께 채택됐다는 건 기념비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유 대사는 "신 기후체제 전환 과정에서 시장도 움직이고 있다"며 지난 10년 간 석탄회사의 가치가 74% 하락했다는 예시를 들었다. 이런 변화의 흐름에서 선두에 선 주체는 '글로벌 투자자'라며 "글로벌 투자자가 기업에게 기후 리스크 대응을 요구하기 때문에 기업이 움직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자자가 기업에게 녹색 투자와 녹색 채권을 구입하라는 등 친환경으로 변화하로고 요구하기에 기업이 움직인다는 설명이다.
유 대사는 "기후변화 대응은 장기적으로도, 자본적으로도, 국제사회에서 돌이킬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신 기후체제 전환은 확실한 방향"이라며 우리 기업들에게 대응을 주문했다.
특히 올해는 5월 한국에서 P4G 정상회의가 개최되고, 4월 미국 재참여한 국제기후정상회의· 11월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열리는 등 기후 변화 대응의 '정치적 모멘텀'이 될 전망이다. 유 대사는 "향후 10년은 탈탄소와 디지털화가 중심이 될 것"이라며 "누가 빨리 대응하느냐가 생존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부법인 화우 조준오 변호사
"기업 경쟁력에 온실가스 감축이 포함되는 시대"
조준오 법무법인 화우 변호사는 "기후위기는 기업에게는 경제의 문제"라며 "온실가스 감축은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부상했다"고 강조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의 특성상 온실가스 감축에 대응이 곧 경쟁력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조 변호사는 빌게이츠의 저서 ‘빌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을 소개하며 “기후 변화대응은 전 세계 모든 사람과 기관이 함께 해야 할 대규모 프로젝트”라고 못박고 있다며 기후위기에 전 지구가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창섭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
"RE100, 국내 ESG 규제 제도의 기준점 될 것"
한편 김창섭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은 "RE100은 규제 정책의 기준점이 될 것"이라며 "정부와 기업 사이의 가장 큰 연결고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RE100이 단순히 재생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라고 독려하는 정책에서 그치는 게 아닌, 정부의 재생에너지 부흥 정책과 기업의 ESG 수요를 충족하는 가교역할을 하는 제도로 부상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 이사장은 "RE100 이행 수단 중 하나인 녹색프리미엄제도에 37개의 기업이 입찰하는 등 재생에너지 수요는 확실히 증가하고 있다"며 "제3자 PPA 활성화를 위해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REC 사업이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시장되면 기업의 수요를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이사장은 RE100 캠페인에 대해서 “2021년 1월 기준 284개 기업이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으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재생에너지 사용이 곧 경쟁력이 되는만큼, 국가적인 지원을 통해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켜주고, 국가 경쟁력으로도 신재생에너지를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