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토요타, 생산기지 재편… '전기차 시대' 대비
자동차 생산량 기준 세계 1·2위를 다투는 일본 도요타가 자국 내 생산기지를 재편한다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이 1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도요타는 2030년까지 자국 내 생산 체제를 재조정하고, 본사가 있는 아이치현에 집중된 생산 능력을 220만 대에서 180만 대로 줄이는 대신, 20만 대 규모를 각각 도호쿠(東北)와 규슈(九州)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호쿠와 규슈의 생산량은 각각 40만 대에서 60만 대로 늘어난다. 감소하는 아이치현의 생산 시설은 전기차와 같은 차세대 차량 생산에 활용할 예정이다.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와 함께 지진 등 대규모 재해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는 동시에 전기자동차(EV) 생산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생산기지를 분산시켜 지진 대비 공급망 안전과 전기차 생산 대비
토요타는 현재 일본 전역에 14개의 완성차 공장을 두고 있으며, 대부분은 본사가 위치한 아이치현 동부 미카와(三河) 지역에 집중돼 있다. 그밖의 지역으로는 도호쿠 지역인 미야기현과 이와테현에 ‘도요타 자동차 동일본’ 공장이 있고, 규슈 지역인 후쿠오카에는 ‘도요타 자동차 규슈’ 공장이 있다. 도호쿠와 규슈 공장에서는 각각 연간 약 40만대를 생산하고 있다. 도요타 동일본에는 약 7000명, 도요타 규슈에는 약 1만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그러나 이번 생산기지 재편으로 각 지역에 맞는 특화된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부품 조달과 생산을 지역 내에서 완결하는 체제를 검토 중이다. 도호쿠와 규슈 공장의 경우 현재는 아이치현에서 부품을 공급받아 차량을 제작하고 있지만 재편 후에는 현지 부품업체가 개발한 부품을 직접 조달해 지역 내에서 생산을 완료하는 체제로 바뀌게 된다.
이번 생산 체제 재편은 2030년에 착수해 2035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아이치현의 생산 대수는 현재의 220만대에서 180만대로 줄어드는 반면, 도호쿠와 규슈는 현재의 약 1.5배인 60만대 규모로 커진다.
차종 간 교차 생산도 검토한다. 현재 도호쿠 공장은 소형차를 주로 생산하고 있고, 규슈 공장에서는 고급차 브랜드인 ‘렉서스’가 주력 차종이다. 앞으로는 모델 간 교차 생산이 가능하도록 설비를 구축하고, 특정 공장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다른 공장에서 생산을 대체하는 전략도 추진할 방침이다.
아이치현을 포함한 도카이(東海) 지역은 생산 규모가 축소되는 대신 차세대 전기차와 배터리 개발 등 첨단기술의 핵심 역할을 맡는다. 토요타는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350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할 계획이며, 아이치현을 전기차 생산거점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요미우리는 생산 체제 재편 배경에 대해 “일본 동쪽 해안을 중심으로 난카이 해곡 대지진의 가능성이 큰 가운데 이에 대한 대비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방 생산과 공급망을 강화해 현지의 젊은 인력을 적극 활용하려는 계획도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