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해상풍력, 고금리·원자재 비용 상승에 프로젝트 재검토 잇따라
일본 해상풍력 개발사들이 글로벌 시장과 마찬가지로 비용 상승 압박에 직면하면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목표로 하는 일본 정부의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고 6일(현지시각)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미쓰비시상사, 해상풍력 사업에서 5000억원 손실
미쓰비시상사는 지난해 4분기 일본 내 해상풍력 발전 사업에서 522억엔(약 498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나카니시 카츠야 사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변화, 인플레이션, 코로나19의 경제적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미쓰비시상사는 2021년 컨소시엄을 구성해 일본 내 3개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나, 최근 거시경제적 요인으로 인해 사업 재검토를 발표했다. 높은 금리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나카니시 사장은 “철저한 논의와 검토를 거쳐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추후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쓰비시와 합작해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주부전력도 179억엔(약 1700억원)의 해상풍력 발전 사업 관련 손실을 기록했다.
다른 종합상사들도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마루베니의 가키노키 마스미 회장은 5일 기자회견에서 “한 걸음 물러서서 상황을 지켜봐야 하는 때”라고 말했다. 마루베니는 지난해 12월 야마가타현 해상풍력 프로젝트 개발 사업자로 선정된 컨소시엄에 참여한 바 있다.
미쓰이물산의 시게타 테츠야 최고재무책임자도 “건설 비용 상승과 환율 변동성이 주요 과제”라고 언급했다. 미쓰이물산은 독일 RWE, 오사카가스와 함께 2023년 니가타현 해상풍력 프로젝트 사업자로 선정됐다.
일본, 2040년까지 해상풍력 최대 45GW 목표…현실은 187MW
해상풍력 업계는 최근 몇 년간 비용 초과와 일정 지연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덴마크 오스테드(Orsted)는 지난달 17억달러(약 2조500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영국의 BP는 일본의 최대 전력회사인 JERA와 해상풍력 사업을 통합해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을 택했다.
이 같은 난관은 일본도 피해갈 수 없다. 일본 경제산업성 분석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4년까지 해상풍력 구조물의 핵심 소재인 철강 가격이 2배로 올랐으며, 케이블 비용도 80% 이상 급등했다. 여기에 엔화 약세가 추가적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NEF의 애널리스트 오타 코코나는 분석했다.
일본은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동안 해외 화석연료 사업에 주력해온 일본 종합상사들도 해상풍력 등 탈탄소 에너지 사업으로 투자 방향을 전환해 왔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10기가와트(GW), 2040년까지 30~45GW의 해상풍력 발전 용량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일본의 해상 풍력발전 설비 용량은 2023년 말 기준 약 187메가와트(MW)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