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재생에너지, 역대 최대 입찰에도 목표 달성 '빨간불
인도의 재생에너지 사업이 입찰 수요 저조, 전력 판매 계약(PPA) 지연, 프로젝트 취소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다고 7일(현지시간) 로이터가 보도했다.
2024년 대규모 입찰, 미달 사례 증가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 Institute for Energy Economics and Financial Analysis)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73GW의 대규모 에너지 입찰이 진행됐으나 약 8.5GW 규모의 프로젝트가 미달됐다. 이는 2023년 대비 5배 증가한 수치다. 연방 경매 시스템의 복잡한 입찰 구조, 주(州) 간 송전 인프라 부족, 계약 체결 지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블룸버그는 인도 정부의 경매 방식에 대한 지방 전력 유통사들의 반발이 입찰 수요 감소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주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취소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동안 인도는 연방 경매 방식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도하고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해왔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문제들이 향후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둔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로이터, 블룸버그 등 외신들이 지난 7일 보도했다.
인도 정부 경매 시스템 위기… 35GW 프로젝트 지연
인도 정부는 2015년부터 경매 시스템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도해 왔다. 이를 통해 전체 태양광·풍력 발전 용량의 80%를 확보했고, 2030년까지 500GW로 발전 용량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2024년 입찰 규모는 73GW로 역대 최대였으며, 하이브리드 태양광-풍력 및 배터리 에너지 저장(BESS) 시스템 프로젝트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최근 지방 전력 유통사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은 정부 주도의 경매 시스템이 아닌 독자적 입찰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 경매를 주관하는 국가 전력기업(NTPC), 수력발전공사(NHPC), 수력·태양광 복합발전기업(SJVN), 인도 태양광공사(SECI) 등이 유통사에 1kWh당 0.07루피의 중개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유통사들은 직접 입찰을 통해 수수료를 줄이고 전력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재정적으로 취약한 지방 유통사들이 독자적인 경매를 추진할 경우 프로젝트의 안정성이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
현재 정부 주도 경매 시스템을 통한 장기 전력 구매 계약(PSA)의 체결이 지연되거나, 지방 전력 유통사들이 계약을 거부하는 사례가 늘면서 약 35GW 규모의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다. 미체결 PSA 용량은 40GW를 초과했으며, 이 중 12GW는 SECI가 진행한 입찰에서 발생했다.
프로젝트 취소 사례 또한 증가세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총 38.3GW 규모의 프로젝트가 취소됐으며, 이는 같은 기간 입찰된 전체 용량의 19%에 해당하는 규모다.
JMK리서치의 아시타 스리바스타바 연구원은 "프로젝트 시행 지연은 인도의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에 중대한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며,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될 경우 대규모 투자자로부터 저비용 금융을 유치하는 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차질 우려… 정부 대응이 관건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최소 500GW의 비(非)화석연료 기반 전력 용량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확보된 용량은 165GW에 불과하며, 2022년 목표였던 175GW조차 달성하지 못한 상황이다. 지난해 전체 전력 생산량의 3분의 2 이상을 화석연료에 의존한 만큼,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IEEFA는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부문이 성장하고 있지만, 입찰 구조 개선과 계약 체결 지연 해소, 투자자 신뢰 회복이 핵심 과제로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JMK 리서치의 디팔리카 메라 연구원은 "정부가 연간 입찰 목표 설정뿐 아니라 입찰 할당과 PSA 체결 목표까지 함께 관리해야 한다"며 "이러한 체계적인 접근 없이는 대규모 투자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