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ESG정책 브리핑】탄녹위, 시도 탄녹위와 함께 중앙·지방 협력강화 방안 논의
◆ 데일리 ESG 정책_25.3.10.
1. 탄녹위, 시도 탄녹위와 함께 중앙·지방 협력강화 방안 논의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와 17개 시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3월 7일(금) 오후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제1차 중앙·지방 탄녹위원장 소통 간담회(이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수립한 시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이행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중앙과 지방의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 탄녹위는 현재의 기후 상황, 국제 동향과 국내 여건, 제1기 위원회의 성과 등을 바탕으로 제2기 위원회의 추진 전략 및 핵심과제를 논의했다. 또한 환경부는 제1차 시군구 기본계획 수립현황, 제1차 시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방향 및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확대 계획 등을 발표했다.
시도에서는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 총량제 확대 시행(서울시)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제주시) ▲전남형 K-패스 확대로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전라남도) ▲RE100 산업단지(‘그린이노파크’) 조성(경상북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세종시) 등 2025년 핵심 추진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 및 포항시(시장 이강덕)와 협력을 통해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을 핵심 녹색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3월 7일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포항 남구 동해면 소재)에서 경상북도·포항시와 배터리 순환이용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배터리 재생원료 시장 활성화와 이를 통한 핵심광물의 공급망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그간 국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삼원계 배터리(NCM) 보다 최근에 보급이 증가하고 있지만 재활용이 어려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재활용 기술개발을 위한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아울러 김완섭 장관은 포항 지역의 배터리 재활용 기업들과 현장 간담회를 갖는다. 김 장관은 기업들이 직면한 애로사항을 듣고, 기업 관계자들과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