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보고서, “AI의 경제적 이득이 탄소 배출 비용보다 많아”
AI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탄소 배출 비용보다 클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22일 발표한 보고서 ‘전력 부족: AI가 에너지 수요를 어떻게 주도할 것인가’에 따르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인공지능이 세계 경제 생산량을 연간 약 0.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AI 데이터센터로 인해 증가하는 탄소 배출의 비용을 상쇄하고도 남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IMF는 탄소 배출 비용을 톤당 39달러(약 5만6000원)으로 산정할 경우, 총 507억~663억달러(약 72조2000억~94조4000억원)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추가 배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AI로 얻을 경제적 이익에 비하면 미미하지만, 여전히 배출량 증가는 우려스럽다"라고 지적했다.
AI로 인한 전력 소비량…미국 전기 가격 9% 상승 전망
IMF는 AI로 인한 글로벌 전력 소비량은 2030년까지 약 1500테라와트시(TWh)로 현재보다 3배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이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다른 전력 수요원을 앞지르며, 현재 세계 3위 전력 소비국인 인도의 총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규모다.
보고서는 IT 부문의 전력 수요 증가가 전체 공급을 촉진할 것이며, 이로 인해 전력 가격이 일부 상승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AI로 인한 전력 수요가 가장 크게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은 AI 확대만으로도 전기 가격이 최대 9%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에서 데이터센터가 가장 밀집한 버지니아 북부 지역에는 서버로 채워진 창고 전용 공간이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8개의 바닥 면적과 거의 동일한 규모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용량 및 송배전 인프라 확충이 지연된다면 전력 가격이 더욱 급등해 가계와 기업에 타격을 줄 뿐 아니라 AI산업 자체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전력 사용 증가로 인한 탄소 배출량은 구글, MS와 같은 테크 기업들이 약속한대로 재생에너지나 친환경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센터의 탄소 배출을 실제로 줄일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전했다.
MS는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인 강철과 콘크리트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목재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구글은 무탄소 전력을 사용해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IMF 보고서는 AI로 인한 생산량 증가가 전 세계적으로 균등하게 공유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책 입안자와 기업이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AI의 탄소 배출… 친환경 에너지 정책으로 제한 가능해
IMF는 현재 에너지 정책 하에서 AI가 적극적으로 도입될 경우, 2025년에서 2030년 사이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누적 기준으로 1.2%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보다 친환경적인 에너지 정책이 도입된다면, 이 증가분을 1.3기가톤으로 제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고서는 재생에너지를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하면 전력 공급을 강화하고 가격이 급등을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조치는 AI의 잠재력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최대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런던정치경제대(LSE) 산하 그랜덤 기후변화 환경연구소(The Grantham Research Institute on Climate Change and the Environment)는 전력, 식량, 운송 부문에서 저탄소 기술의 발전을 가속화한다면 탄소 배출량을 전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그랜덤 연구소의 정책 연구원 로베르타 피에르페데리치(Roberta Pierfederici)는 로이터 통신에 “그러나 시장에만 맡겨서는 기후 친화적인 방향으로 AI를 적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라고 전했다.
또한 "정부, 기술 기업, 에너지 기업은 AI가 의도적이고 공평하며 지속 가능하게 사용되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AI 발전으로 인해 심화될 수 있는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자금과 정책 또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