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신간】 소셜 매니지먼트, ESG 그리고 임팩트 비즈니스/ 미래를 지배하는 힘: ESG 거버넌스 마스터 키
소셜 매니지먼트, ESG 그리고 임팩트 비즈니스
이 책은 자연과 생명의 질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관점에서, 인간이 지구의 '회복력'을 간섭 없이 지켜주는 것이야말로 생존의 해법임을 강조한다. 복잡성과 시스템의 관점에서 기후위기를 이해하고, 파괴를 멈추는 ‘이해의 정치’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저자들은 ‘임팩트 경영’을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인간 중심성과 공공성을 회복하는 경영 혁명이라 규정한다. 이윤과 사회적 가치의 공존, 조직과 개인의 연결성 회복, 경영의 자기철학화가 그 핵심이다. 임팩트 경영은 기업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이해하며, ‘성과(output)’ 중심이 아닌 ‘영향(impact)’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저자소개 (이견직 외 2인)
이견직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서 현재 경영대학장 겸 경영대학원장을 맡고 있으며 소셜벤처 스타트업인 휴랩(HuLab)을 창업했다. 주요 사회활동으로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전문위원과 보건복지부 및 대한병원협회 자문위원 등이 있다.
곽진우 (주)마음인베스트먼트의 대표로, 대학생들의 도전을 현실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액셀러레이터를 만들어가고 있다. 한림대 스타트업 비즈니스 겸임교수이기도 하다.
이동형 Social Impact Operations의 대표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청년 창업팀의 성장을 돕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글로벌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헐트프라이즈의 한국 지부를 설립하고 운영했다.
미래를 지배하는 키: ESG 거버넌스 마스터키
『ESG 거버넌스 마스터키』는 ESG가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 된 시대, 그 중심 축인 ‘거버넌스(Governance)’를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할 것인지를 다룬다. 저자들은 말한다. ESG는 단순히 보고서를 잘 쓰는 기술이 아니라, 기업의 의사결정 구조와 책임성, 투명성을 바로 세우는 일이며, 그 시작이자 핵심은 바로 거버넌스라는 점이다.
이 책은 ESG를 단지 공시와 평가 대응의 문제로 좁게 보지 않는다. ‘좋은 거버넌스’는 기업의 철학이자 지속가능경영의 토대임을 일관되게 주장한다. 이사회 독립성, 경영진의 윤리, 내부통제의 실효성 등 기업 내적 구조를 어떻게 갖추느냐가 곧 ESG 전체의 신뢰를 좌우한다는 것이다.
9인의 공저자들이 집필한 이 책은 다양한 산업의 실무 경험과 이론적 통찰을 바탕으로, ESG 거버넌스를 고민하는 기업에 신뢰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준다. 스타트업이든 대기업이든, ESG 경영의 출발선에 서 있는 모든 조직에게 이 책은 묻는다. “당신의 거버넌스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
저자 소개 (구현화 외 9인)
구현화 현) 한경ESG 기자, ISO 9001, 14001, 45001, 37001, 37301 국제인증심사원보, [저서] 『ESG 경영 사례연구』(2024)
김인현 현) 한국공간정보통신 대표이사/창립자, 현)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감사/ESG 분과 위원, 현) ISO TC211(공간정보국제표준화) 전문위원
배재성 현) 대전대학교 객원교수, 현) 한국ESG경영인증원 수석전문위원,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경영기획부장
송철우 현) 석세스 인사이트 대표, 현) 한국멘탈코칭센터 이사, 현) 한국강사협회 이사, 스마트공장, ESG 시스템 구축 컨설팅
임은정 현) 인베스트교육개발원 대표, 현)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디지털융합경영학과 특임교수, 현) ISO 부패방지경영 인증 심사원, 현)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노사발전재단 기업 컨설턴트
정성훈 현) 극동물류그룹 기획팀 차장, 전) 국도화학 물류1팀 팀장, 전) 흥아해운 ESG TFT 팀장
최영미 현) 한국국제협력단 기업협력사업팀 연구위원, 현) 서울특별시 감사위원회 청렴정책 자문위원, 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겸임교수, 현) 국민권익위원화 청렴연수원 등록 청렴전문강사, 전) 교육부 시민감사관
최태웅 현) 세스코 기획조정본부 책임매니저, 전) 솔브레인홀딩스 계열 품질관리 과장, ISO 국제심사원보 (9001, 14001, 45001, 37001)
한요한 현) 디밀리언 대표이사, 현) 세븐파트너즈 DX부분 부대표, 현) 경기벤처기업협회 상임이사, 현) 한국컨설팅산업협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