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민주당 상원의원, 월가 ‘기후 후퇴’ 정조준
미국 민주당 소속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 상원의원과 셸던 화이트하우스(Sheldon Whitehouse) 상원의원이 미국 주요 은행들의 기후 공약 후퇴 움직임에 대해 공식 조사를 시작했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시각) 두 의원이 월가 주요 은행들의 ‘넷제로은행연합(Net-Zero Banking Alliance, NZBA)’ 탈퇴 배경과 내부 논의 내용을 요구하는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워런·화이트하우스, 월가의 NZBA 탈퇴 집중 조사
이번 조사는 JP모건체이스(JPMorgan Chase), 웰스파고(Wells Fargo),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씨티그룹(Citigroup) 등 대형 은행 CEO를 대상으로 한 서한 형식으로 진행된다. 워런과 화이트하우스 의원은 각 은행이 NZBA를 탈퇴하게 된 배경에 대한 내부 이메일, 메모, 리스크 분석 자료 등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두 의원은 서한에서 “월가의 기후 정책 철회는 미국 금융 시스템과 경제 전반에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며 “지구 온난화가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NZBA는 금융기관이 파리협정의 1.5도 목표에 맞춰 탈탄소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자발적 연합이었지만, 최근 미국 금융사들이 잇따라 탈퇴하면서 의무 조항을 삭제하거나 '달성 노력', '지향' 등 수사적 완화를 시도하고 있다. 워런 의원 측은 이번 기류가 “공화당과 화석연료 업계의 정치적 압박에 따른 것”이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당선 이후 ESG 위축 가속…워런, 2020년에 이어 재차 대응
트럼프 행정부는 기후 정책에 강한 반대 입장을 밝혀왔으며, 은행들의 연합 탈퇴는 이러한 트럼프의 당선 이후와 맞물린다.
실제로 트럼프 집권 후 에너지부 장관 크리스 라이트(Chris Wright)는 “넷제로는 끔찍하고 사악한 목표”라고 발언한 바 있으며, 미 하원 법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금융기관들이 ESG 목표를 강제로 도입하려 했다는 반독점 혐의 가능성까지 제기하며 “기후 카르텔”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한 바 있다.
다만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JP모건, 웰스파고, 씨티은행, BOA 등은 2015년 파리협정 체결 이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화석연료 산업 자금을 제공한 금융기관으로 꼽힌다. 지난 10년간 글로벌 은행들은 총 6조달러(약 8220조원) 이상을 석유·가스·석탄 산업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워런 의원은 지난 2020년에도 주요 은행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관련 금융 리스크 대응 계획을 제출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그는 공공기업의 기후 리스크 공시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발의하고, 연준과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상대로 기후 대응 강화를 요구하는 등 기후 이슈에 대한 입법 활동을 지속해왔다. 이번 정보 요구 역시 그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당시 요청 이후 실제로 제재나 추가 조치가 이뤄졌다는 공식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