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전기차 투자 등 에너지 전환 속도 내는 美

2021-03-31     박지영 editor

바이든은 기후변화에 당근 준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선 다양한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 중 바이든 행정부가 선택한 건 ‘에너지 전환’이다. 그린 인프라 건설을 통해 저탄소 미래를 대비한다는 구상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향후 10년 안에 해양 풍력 에너지 산업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석유와 LNG를 위한 토지 임대를 중단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린 후 결정한 신사업이 재생에너지인만큼, 향후 미국에선 에너지 대전환이 가장 중요한 의제 중 하나로 떠오를 전망이다.

미국엔 해상 풍력 설비가 2개밖에 없다. 로드아일랜드 앞바다에 30메가와트 블록 아일랜드 윈드팜과 버지니아 해안가에서 이뤄지고 있는 소규모 해상 풍력 프로젝트다. 

반면 유럽은 20GW 이상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10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미국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기업도 노르웨이의 에퀴노르, 덴마크의 외르스테드, 코펜하겐 인프라파트너스 등 상당수가 유럽 기업이다.

재생에너지 인프라 건설과 더불어 변화하는 에너지 시장에서 패권을 잡기 위해 유럽을 따라 잡아야 한다는 조급함도 정책에 담겼다. 바이든 행정부는 2030년까지 30기가와트의 해상 풍력에너지를 배치해 연간 1,0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7800만톤의 탄소를 감축하겠다고 공언했다.

해상 풍력 발전 사업의 시작으로 올해 말 롱아일랜드와 뉴욕, 뉴저지 주 사이의 인구 밀도가 높은 해안의 지역인 뉴욕 베이트에 새로운 해상 풍력 에너지 개발 구역을 조성한다.

대규모 해상 풍력 터빈을 위한 날개, 타워 및 기타 부품을 생산하는 공장 신설, 해상풍력 설치에 특화된 선박을 만드는 조선소를 통해 일자리도 함께 창출할 계획이다. 행정부는 “2030년까지 4만4000명의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고 3만3000개의 추가 지원을 통해 일자리를 공급할 것"이라며 "5억달러 이상의 민간의 투자를 예상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공공자금으로 30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린 인프라에 3조달러 투입한다

바이든 행정부는 경제 활성화와 탄소 배출 감축, 경제적 불평등을 좁히기 위해 3조달러 규모의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전기자동차와 재생에너지 인프라 조성에 1조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과 미국의 제조업을 저탄소 구조에 맞게 개편하는 방안이 핵심이다.

이번 발표는 바이든이 오바마와는 다른 기후위기 대응 방법을 쓰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바이든은 탄소 배출 규제에 집중하기보다는 저탄소 발전 전환을 중심에 둔 에너지 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방적 규제보다 적절한 당근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다.

미국이 인프라 조성을 위해 재정을 푼 것은 2009년 오바마의 900억달러 녹색 부양책 이후 처음이다. 태양광과 풍력 산업을 집중 육성했다. 이번 3조달러 계획에는 도로, 교량, 철도, 항만, 전기 자동차 충전소, 전력망 및 기타 전력 부문의 개선 등 그린뉴딜에 해당하는 사업들이 포함됐다. 친환경 사업을 키우는 한편, 석유 기업 지원 정책은 중단할 방침이다.

한편, 포드사 등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번 계획에 전기차 활성화 방안을 담아달라”며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전기차 제조와 구매, 연방정부 차량 전기차 구매 활성화를 위해 세금 혜택과 보조금을 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더불어 전기차 부품(배터리, 전기모터 등)을 국내 제조할 수 있도록 나서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