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브라질서 ‘노예 근로’ 소송…620억원 손배 청구에 공장 투자 타격 우려

2025-05-28     이재영 editor

브라질 노동검찰청(MPT)이 중국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와 하청업체 2곳을 상대로 620억 원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로이터는 27일(현지시각) 해당 사건이 브라질의 공적민사소송 제도를 통해 정식 법적 절차로 전환됐다고 보도했다.

브라질의 공적민사소송(Ação Civil Pública)은 노동, 환경, 소비자 권리 등 공공 이익 침해 사안에 대해 검찰이 민사 책임을 추궁하는 제도로, 형사 기소와는 별개로 기업에 금전적 배상과 제도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이다.

비야디(BYD)가 브라질에서 ‘노예-유사 근로’ 혐의로 620억원대 손배 소송을 당했다. / 픽사베이 

 

강제노동 정황, 계약서 실물로 드러나

이번 소송은 브라질 바이아(Bahia)주 카마사리(Camacari)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노동 인권 침해 사건에 기반한다. 하청업체 진지앙(China JinJiang Construction Brazil)과 테크몬타(Tecmonta Equipamentos Inteligentes)는 중국인 노동자 220명을 불법 고용해 여권을 압수하고 장시간 노동을 강요하는 등, ‘노예와 유사한’ 근로 환경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브라질 노동당국은 2025년 2월, 이들이 체결한 10여 건의 실제 고용 계약서를 확보했다. 해당 문서에는 ▲임금의 최대 70%를 본국으로 송금 ▲6개월 고정 근로 후에만 계약 해지 가능 ▲900달러(약 120만 원)의 보증금 납부 ▲행동 규정 위반 시 벌금 부과 등 강제성이 짙은 조항들이 명시돼 있었다. 일부 노동자는 계약서 없이 입국해 몇 달 뒤에야 문서에 서명했으며,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 매트리스 없는 숙소, 화장실 1개당 30명 사용 등 비위생적이고 과밀한 생활 환경에 놓여 있었다는 사실도 당국 조사에서 확인됐다.

BYD는 문제가 불거진 직후 하청사 진지앙과의 계약을 종료하고, “국제 노동 규범을 존중하며 당국과 협조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진지앙 측은 “이는 번역상의 오해이며, 강제노동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브라질 핵심 공장에 직격탄…공급망 규제 흐름과도 맞물려

이번 사안은 BYD가 전략적 거점으로 조성 중인 브라질 전기차 생산기지와 직결돼 있다. 해당 부지는 과거 포드(Ford)의 공장이 위치했던 곳으로, 2021년 철수 이후 유휴 상태로 남아 있었다. BYD는 2023년 바이아주 정부와 협의해 부지를 확보했으며, 연간 15만 대 생산을 목표로 약 6억2000만달러(약 9000억원)를 투자해 공장 건설을 추진해 왔다. 이번 손해배상 청구액 2억5700만헤알(약 620억원)은 전체 투자액의 약 7%에 해당하는 규모다.

해당 공장은 BYD가 중국 외 최대 규모의 전기차 생산기지로 육성하려던 핵심 사업이었지만, 공사 초기부터 현지 고용 확대 약속과 달리 다수의 인력이 중국에서 직접 채용됐다는 점이 논란이 됐다. 브라질 건설노조는 “브라질인을 배제한 채 해외 인력으로만 충원한 것은 불공정한 고용”이라고 항의했으며, 일자리 정책을 둘러싼 긴장이 현지에서 지속돼 왔다.

브라질 노동검찰은 “이번 소송은 조사 과정에서 확보한 충분한 증거를 기반으로 한다”며 조정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으나, 본안 판단으로 이어질 경우 BYD의 현지 사업 전략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이번 사건은 BYD의 브라질 최대 생산기지에서 발생한 사안이며, 피해자 220명은 모두 귀국한 상태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