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 전환 땐 2060년 GDP 21%↑…20조달러 절감 효과

2025-07-05     홍명표 editor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환과 포용적 정책을 병행할 경우, 2060년까지 세계 GDP가 21% 증가하고 에너지 부문 누적 절감액은 20조4000억달러(약 2경7864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엔개발계획(UNDP), 영국 옥토퍼스에너지(Octopus Energy), 미국 덴버대 파디연구소(Pardee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Denver)는 2일(현지시각) 발표한 공동 보고서에서 지금과 같은 정책을 유지할 경우, 2060년에도 화석연료가 전 세계 1차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며 이는 파리협정 목표 달성뿐 아니라 교육, 보건, 에너지 접근 등 인간 개발 지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보고서, “지금의 정책으론 1.5℃ 달성 불가능”

보고서는 현재 정책 기조를 유지할 경우 2060년에도 화석연료 비중은 51.2%에 달하며, 에너지 집약도도 높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노후한 송전망과 부족한 재생에너지 투자로 인해 저탄소 기술 보급이 지연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에 따라 전력, 운송, 건물, 산업 전반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여전히 많아 파리협정 1.5℃ 목표 달성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동시에 보편적 에너지 접근성과 교육·보건·위생 서비스의 질적 개선도 저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는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을 토대로 야심찬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보다 강력한 재생에너지 목표와 함께 공정전환을 위한 사회정책이 통합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

정의로운 전환 시나리오의 에너지 생산, 효율, 온도 변화 예측 비교 / UNDP 외 공동 보고서, Charged for Change

 

‘정의로운 전환’ 땐, GDP 증가 + 빈곤 감소 효과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기화(electrification)를 바탕으로 공정전환 정책을 병행할 경우, 2060년까지 세계 GDP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21% 늘고, 총 20.4조달러의 에너지 부문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중 에너지 효율 개선으로 8.9조달러, 재생에너지 기술 확산으로 11.5조달러가 절감되는 것으로 추산됐다 .

경제효과뿐 아니라 사회적 편익도 두드러진다. 해당 시나리오에서는 극빈층 1억9300만 명이 빈곤에서 벗어나고, 5억5000만 명이 물과 위생 서비스에 접근하며, 1억4200만 명의 영양실조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UNDP 기후변화 글로벌 국장 캐시 플린(Cassie Flynn)은 “지금 세계는 인간의 삶의 질 개선과 화석연료 기반 개발의 환경 피해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청정에너지 기반의 미래는 가능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야심찬 정책 선택이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진은 각국 정부가 오는 11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계기로 국가감축목표(NDC)를 보다 적극적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현재까지 2025년 이전에 새로운 NDC를 제출한 국가는 13개국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