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해상풍력 핵심부품 '영구자석' 중국 의존 낮춘다… 2035년까지 50% 대체 조달
독일 정부와 유럽 풍력 산업계가 해상풍력 생산의 핵심 원료인 중국산 영구자석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공동 로드맵을 발표했다.
독일 연방경제에너지부는 6일(현지시각) ‘영구자석 회복력 로드맵(Resilience Roadmap for Permanent Magnets)’을 발표하면서, 오는 2035년까지 전체 공급량의 절반을 호주·일본 등 대체 공급국에서 조달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로드맵에는 유럽풍력협회(WindEurope), 독일풍력산업협회, 독일기계장비산업협회(VDMA) 등이 공동 서명했다. 독일 정부는 장기공급계약과 투자보증 등 정책 수단을 병행해 기업의 공급망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영구자석 90% 중국 의존… 해상풍력 공급망 전환 나선 독일
영구자석은 해상풍력 터빈의 전력 출력을 최적화하고 유지보수 절감을 위한 핵심 부품으로, 전기차(EV), 정밀기계, 국방 산업 등 다양한 첨단 제조 분야에서도 폭넓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영구자석의 생산ㆍ제조뿐 아니라 자석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 대부분을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어, 가치사슬 전반에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영구자석 공급의 약 90%를 차지하고 제조 공정이 중국에 집중돼 있어 대체 공급처 확보마저 어려운 구조다.
이에 이번 로드맵은 독일뿐 아니라 유럽 전반의 공급망 회복력을 강화하고 산업 공급망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공동 대응으로 마련됐다.
로드맵에 따르면, 유럽과 독일 풍력업계는 오는 2030년까지 전체 영구자석 공급의 30%, 2035년까지 50%를 호주, 일본 등 대체 공급원에서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6년 말까지 OEM과 공급계약 체결 ▲2028년 말 첫 출하 ▲2029년 말 이를 탑재한 풍력터빈 가동 등 세부 일정을 이행할 예정이다.
공급망 다변화뿐 아니라 자석 생산 공정 자체의 탈중국 전환이 핵심 장기 과제로 추진될 예정이다.
경제부는 “영구자석은 거의 대부분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원료인 희토류 또한 중국산이 지배적”이라며 “특정 제3국에 대한 전략적 의존도를 체계적으로 줄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2030년까지 해상풍력 3배 확대 달성… 산업 경쟁력까지 확보 목표
이번 로드맵은 독일의 에너지전환 정책과도 직접 연관돼있다.
독일 정부는 해상풍력 발전 설비를 2030년까지 30GW로 현 수준 대비 3배까지 확대해 전체 전력에서 해상풍력이 차지하는 비중을 대폭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는 석탄·가스 등 화석연료 발전과 탄소배출을 감축하고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정책의 일환이다.
하지만 독일의 올해 해상풍력은 전력수요의 5%에 그쳤다. 2025년 1/4분기 독일의 전체 풍력 발전량은 2017년 이후 약 30% 증가했지만, 전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34%에서 올해 24%로 급감했다.
경제부는 영구자석과 희토류 공급이 중국에 과도하게 집중돼 있다며, 전략적 의존도를 체계적으로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