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4개 대기업 조사, 소비재·IT 인권 공시율 급등…부동산·헬스케어도 개선
글로벌 대기업들이 인권경영을 단순 준법 차원을 넘어 기업 전략의 핵심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ISS 산하 자문기관 ISS-코퍼레이트가 15일(현지시각)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가총액 100억달러(약 13조9000억원) 이상 대기업 1864곳의 인권 관련 공시와 실사 관행이 2025년 들어 전 지역에서 전년 대비 뚜렷하게 증가했다.
아태지역에서 공급망 실사 활발하고 실사 관행 확산
보고서는 2024년 6월 30일과 2025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기업 인권 공시를 비교한 결과, 모든 지역에서 인권정책 공개율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특히 더 많은 기업들이 인권 준수를 공식화하고, 이를 공급업체까지 확장하며 별도의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권 요소를 포함한 공급망 감사 결과를 공시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중동·아프리카 기업의 인권정책 공개율은 2024년 77%에서 2025년 81%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주 기업은 55%에서 60%로, 아시아·태평양 기업은 50%에서 54%로 각각 늘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인권정책을 공개한 기업 비율보다 공급망 실사를 시행한 기업 비율이 더 높았다. 이는 인권 관련 공식 정책을 공시하는 흐름보다, 실제 협력사 감사를 통한 관리·감독 관행이 선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주 지역도 2025년 기준 기업의 54%가 공급망 인권 기대치를 설정(2024년 44%)했고, 49%는 협력사 감사를 실시했다.
업종 전반으로 확산…소비재·IT 두드러져
업종별 분석에서도 인권 공시와 실사 강화가 뚜렷하다. ISS-코퍼레이트가 동일한 1864개 대기업을 업종별로 나눈 결과, 복잡한 공급망을 가진 정보기술(IT), 소비재, 에너지, 소재 산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공시율을 보였다. 반면 금융·부동산 업종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최근 빠른 개선세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업종은 공급망 인권 관련 기대치를 반영한 기업 비율이 2024년 38%에서 2025년 49%로 상승했다. 헬스케어 업종은 같은 기간 38%에서 54%로 급등했다. 소비재 업종도 50%에서 64%로 1년 만에 14%포인트 상승하며 가장 큰 개선폭을 기록했다.
ISS-코퍼레이트는 이러한 흐름이 국제연합(UN)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s) 등 국제 규범, 강제노동·아동노동 금지 규제, 그리고 투자자와 감독당국의 압력이 맞물리면서 촉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들은 단순한 법적 준수를 넘어 강제노동 방지,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 공정 고용을 기업 전략의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 속에서 인권 침해 리스크를 차단하기 위해 협력사 행동강령을 마련하고, 계약 조건에 인권 조항을 반영하며, 독립적인 감사 절차를 확대하는 추세다. 보고서는 인권경영 강화가 윤리적 책무를 넘어 장기적 지속가능성과 투자자 신뢰 확보를 위한 핵심 수단이 되고 있으며, 공시 확대와 공급망 실사 강화가 기업 회복탄력성과 시장 신뢰를 높이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