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녹색 프로젝트 외자 차입 문턱 낮춘다…채권시장 훈풍

2025-08-25     유인영 editor
주허신 중국인민은행 부총재 겸 국가외환관리국장 /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중국이 기후 관련 프로젝트 자본 조달을 위한 외자 활용 문턱을 낮췄다. 기업의 외채 비용을 줄이고 녹색금융을 확대하려는 조치다.

22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상하이·베이징 등 16개 지역에서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외자 차입 완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비금융 기업은 비거주자로부터 위안화와 외화를 빌릴 수 있는 할당량이 확대된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비금융 기업의 외채 차입에 달러·유로 등 통화별 할당량을 두고 엄격히 관리해왔다. 이번 조치는 녹색·저탄소 전환 프로젝트에 한해 이 한도를 완화한 것이다.

 

외채 쿼터 완화, 녹색 프로젝트 비용 절감 효과

중국 S&P글로벌 레이팅의 레이 왕 분석총괄은 “녹색·저탄소 전환 프로젝트는 외채 위험가중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어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정책 효과는 녹색 프로젝트 투자 확대에 맞춰질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기업의 중장기 외채 활용을 장려하려는 중국 정부 정책의 연장선이다. 지난 6월 루자쭈이 포럼에서 주허신 인민은행 부총재 겸 외환관리국장은 녹색 분야 역외 차입 확대 시범사업 추진을 예고한 바 있다. 그는 적격 기업이 녹색 프로젝트에 외채를 활용하도록 장려하고, 해외 상장 중국 기업의 자금 조달 규제를 완화하며, 위안화·외화를 통합 관리해 자금의 역내 투자를 용이하게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스테이너블 피치(Sustainable Fitch)의 요시 웨 애널리스트는 지방정부 자금조달기구(LGFV)가 이번 완화 조치의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LGFV는 지방정부가 인프라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세운 특수법인이다. 다만 그는 “중국이 인정하는 ‘녹색’ 활동과 국제적 기준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점은 투자자가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달 개정된 ‘녹색금융 프로젝트 카탈로그’에는 ‘주요 산업의 저탄소 전환’이 신설돼, 고배출 산업의 감축 프로젝트에도 녹색 자금이 유입될 수 있도록 했다.

 

글로벌 기준 맞추는 중국, 채권시장 반응도 긍정적

중국은 최근 몇 년간 외자 유치를 위해 채권·공시 제도를 글로벌 기준에 맞추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싱가포르의 녹색채권과 기준을 맞추는 금융 협력을 시행하고, 기업의 오염물질 배출 정보 공개를 확대했다. 올해 초에는 런던에서 첫 녹색국채도 발행했다.

BNP파리바자산운용 크리스탈 겅 아시아 ESG 리서치 책임자는 “저장성·장쑤성의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는 장비 업그레이드와 연구개발 자금이 필요하다”며, “허베이성은 오염 통제, 광둥성과 저장성은 배터리·충전 인프라 투자, 닝보는 생태 복원 자금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채권시장 반응도 뚜렷하다. 올해 들어 해외시장에서 발행되는 중국 외화표시 채권에 대한 투자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BNP파리바의 크리스토퍼 리 아시아 크레딧 트레이딩 총괄은 “중국 투자등급 달러채권 금리가 미국 국채 대비 더해지는 가산금리(스프레드)가 이번 주 60bp 수준으로, 사실상 사상 최저치에 근접했다”고 말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중국 채권을 위험이 적은 자산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매입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는 또 “시장에서는 중국 기관들이 새로운 녹색채권을 발행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