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반기 석탄발전 21GW 신규 가동… “청정에너지 확대에도 10년 만 최대치”

2025-08-26     김환이 editor

중국이 올해 상반기 21GW 규모의 석탄발전 신규 설비를 가동하며 201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헬싱키 소재 연구기관 에너지청정대기연구소(CREA)와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는 25일(현지시각)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중국 석탄 프로젝트 반기 검토’ 보고서에서, 재생에너지 설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석탄발전 의존도가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석탄발전소 신규 가동과 프로젝트 추진 규모가 10년 만 최고 수준이며, 올해 연간 신규 가동 규모는 80GW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됐다. 이에 석탄발전 축소를 공언한 중국 정부의 정책과 실제 현장 간의 괴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025년, 석탄발전 추가 설비 최대 규모 될 것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신규 가동되는 석탄발전 용량은 연간 80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2~2023년에 집중적으로 이뤄진 대규모 프로젝트 승인이 올해 들어 본격 가동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중국은 전력난, 정전 사태, 석탄 가격 급등, 강화된 배출 규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발전 신규 허가를 대거 늘렸다. 연간 100GW 이상, 평균 주 2건의 신규 프로젝트가 승인됐으며, 2025년 가동 단계에 들어서면서 급증세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신규 허가 규모는 25GW로 최근 2년 대비 소폭 줄었으나, 누적 승인된 프로젝트 규모가 이미 방대하기 때문에 2026~2027년까지 석탄발전 증가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올해 상반기에만 신규·재추진 프로젝트가 75GW, 착공 및 재착공 규모가 46GW에 달했다.

사진=CREA

 

청정 에너지 증가에도 석탄발전 퇴출 속도 느려…  

중국 정부는 2022년 석탄발전을 청정에너지 보조 수단으로 제한하고 2026~2030년까지 석탄 사용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인센티브가 부족해 실제 전력 운영은 여전히 석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전력 구조만 보면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는 빠르다. 올해 6월 기준 전력 생산에서 석탄 비중은 51%로 9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고, 설비 용량에서도 석탄은 34%에 그쳤다. 반면 재생에너지 전력 비중은 60%를 넘어섰으며, 풍력·태양광 설비만 올해 500GW 이상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문제는 석탄발전 퇴출 속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점이다. 올해 상반기 폐쇄된 석탄발전은 1GW에 불과했고, 2021년 이후 누적 퇴출도 16GW에 그쳤다. 제14차 5개년 계획의 2025년까지 30GW 폐쇄 목표를 달성하려면 하반기에만 13GW를 추가로 줄여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글로벌에너지모니터의 크리스틴 시어러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석탄발전 개발은 둔화 조짐이 전혀 없다”며 “2030년 탄소 정점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노후·비효율 설비의 폐쇄와 신규 억제를 위한 강력한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REA의 친치 애널리스트는 “중국의 청정에너지 붐은 경제 성장과 탈탄소화를 동시에 견인하고 있지만, 석탄발전 확대는 투자 낭비이자 재생에너지 확산을 가로막는 요인”이라며 “새로운 석탄발전 추가를 멈추고 축소 경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CREA, "구조적 개혁 통해 석탄발전 축소 정책 병행해야"

보고서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s)와 제15차 5개년 계획을 앞두고 강력한 감축 목표와 석탄발전 축소 정책이 명확히 제시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석탄발전 감축 로드맵 수립 ▲성정부별 감축 일정 및 퇴출 계획 마련 ▲2022~2025년 허가된 프로젝트의 전면 재검토 ▲불필요한 프로젝트 취소·연기 등을 권고했다. 

또한 장기 전력구매계약(PPA) 축소, 재생에너지 우선 배분 규칙 개정, 석탄 퇴출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 구조적 개혁 과제도 함께 제시했다.

연구진은 “중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은 장기적으로 기후 목표와 부합하고 있으나, 강제적 목표와 제도 개혁의 부재로 석탄발전에 유리한 기존 인센티브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며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청정에너지 확대 성과가 석탄발전 증가에 상쇄돼 에너지 전환과 배출 감축이 지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