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절감 최우선’ 미국 가구 3분의 2…전력업계, 고객 맞춤형 서비스 확대

2025-09-02     고현창 editor

에너지 시장이 디지털·탈탄소화로 재편되는 가운데, 미국 에너지 소비자의 행동이 4개 주요 유형으로 나뉘면서, 전력회사가 소비자 맞춤형 전략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스마트 에너지 컨슈머 콜라보러티브(SECC)’는 29일(현지시각) 여론조사 기관 해리스폴(Harris Poll)을 통해 2000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하며, 전력회사가 고객전략 수립에 참고할 수 있는 네 가지 소비자 유형을 제시했다.

 

적극 참여형 vs 기술 회피형…소비자 행동의 다양화

조사에 따르면 ‘인지·참여형(Informed and Engaged)’은 미국 가구의 34%를 차지하며, 에너지 사용을 적극 관리하고 전력회사의 프로그램에 이미 참여 중인 그룹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스마트홈 기술, 수요반응(demand-response) 프로그램, 에너지 효율 인센티브 등 고도화된 솔루션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반면 ‘관심·가능형(Curious and Capable)’은 28%를 차지하는 젊은 소비층으로, 기술 친화적이고 비용에 민감하지만 아직 에너지 관리 참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 그룹을 대상으로 앱 기반 서비스나 디지털 교육 캠페인을 제공할 경우, 새로운 참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비해 25%를 차지하는 ‘기술 회피·절약형(Tech-Cautious Savers)’과 13%를 차지하는 ‘간편형(Turnkey Comfort)’은 단순성과 비용 절감을 선호하는 집단으로 분류됐다. 이들은 기술적 개입을 최소화하고 예측 가능한 안정적 서비스를 중시하는 특성을 보였다. SECC는 이들 그룹을 대상으로는 프로그램을 복잡하게 설계하기보다 비용 절감과 기본 서비스 안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SECC에서 예시 이미지로 보여주는 에너지 효율적인 스마트홈 / 이미지 출처 SECC

 

‘비용 절감’ 여전히 최우선…그러나 가치 기반 전환 가능성

응답자의 약 3분의 2는 여전히 에너지 비용 절감을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꼽았다. 이는 신기술이나 유틸리티 프로그램 참여 의향보다도 강력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모든 유형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특징이다.

다만 SECC는 비용 중심의 사고 속에서도 새로운 가치가 부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사 결과 일부 가구는 청정에너지, 전력망 안정성, 스마트 기술 도입 가능성에 점차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제 조건은 ‘도입의 용이성과 확실한 이익 제공’이라는 점이다.

SECC는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태양광·배터리 설치를 통한 장기 절감 효과스마트 플러그·콘센트 등 저비용 기기를 활용한 간편한 에너지 관리수요반응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전기요금 환급 등 구체적 방안도 안내하고 있다. 결국 비용 절감이라는 최우선 과제 속에서도,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에너지 시장의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에너지 분석기관인 에너지세이지(Energysage)의 분석에 따르면, 지역별 전기요금 수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태양광 설치가 장기적으로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도 안내됐다. 실제로 월 전기요금이 150달러 수준인 가구는 30년간 약 8만3000달러(약 1억1000만원)를 절약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Energysage의 분석을 통해 보여주는 일반 전력사용과 태양광 패널 설치에 따른 전기요금 비교 그래프 / 이미지 출처 Energysage

네이선 섀넌 SECC 회장 겸 CEO는 “대다수 가구에서 비용이 여전히 최우선 과제이지만, 환경·기술·전력망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가치가 향후 고객 참여를 확대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말하며, 단순한 요금 절감을 넘어 환경·디지털 가치가 소비자 선택의 새로운 잣대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보고서는 전력회사가 이러한 다양한 가치를 충족시키면서도 참여 방식을 단순하고 접근 가능하게 설계한다면, 고객 신뢰를 강화하고 장기적 관계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한편 한전 독점 체제인 국내 현황으로서는 동일한 사례 적용은 제한적이나, 국내에서도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에너지 캐시백’ 제도나 스마트그리드사업단의 제주 실증사업처럼, 공공기관과 통신·가전 업계가 참여하는 수요관리·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은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