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2030년까지 70만 개의 신(新) 녹색 일자리 창출 예정
영국 경제 회복 위해 그린 에너지 일자리 창출 집중 향후 10년 내 70만 개 일자리 창출 기대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전세계 대공황의 위협 속에서 세계 각국이 '그린 뉴딜(Green Newdeal)'에 관한 정책을 발표하는 가운데, 영국이 향후 10년 이내 영국에서 70만개의 녹색 일자리를 새로 창출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지방정부협회(LGAㆍLocal Government Association)'가 출간한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시행할 경우 10년 내에 69만8000개의 새로운 녹색일자리를 창출하고, 2050년까지 48만8000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새로운 역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2020년 하반기에 제2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발생할 경우 영국의 실업률이 10%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가운데 나왔다. 2월 이후 실업률은 3.9% 내외로 정체되고 있지만, 감원 등으로 인한 재정난이 장기화되면서 재무부는 추가 감원이 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신)재생 에너지, 청정 기술 및 에너지 효율성에 중점을 둔 경제 회복 옵션을 만들기 위해 의회 및 기술 제공업체와 협력한다면 이러한 고통의 많은 부분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영국은 친환경 사업에 투자를 집중하여 일자리 창출, 경제 회복 등을 실현할 계획이다. 대표 친환경 분야는 에너지 효율 제품(21%)이며, 이 외에도 저배출 차량 제조(14%), 대체 연료 생산(10%), 탄소 배출이 적은 법률, IT, 금융 서비스(9%)가 있다.
영국 2050 순 제로(net-zero) 계획의 실현
이 같은 계획은 영국이 최근 발표한 2050년 순제로 목표에 근거한다.
세부적으로는 기후변화위원회(CCC, the Committee on Climate Change)의 핵심 권고안과 국가 그리드의 미래 에너지 시나리오(National Grid’s Future Energy Scenario) 로드맵을 큰 틀로 두고 있다. 이에 영국은 2030년까지 전력의 약 30%를 풍력, 수력 등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리처드 리스 LGA 시티지역 이사회 의장은 "의회가 야심찬 계획과 목표를 통해 기후변화 의제를 지역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친환경 사업의 약 28% 이상은 요크셔, 험버, 북서부 지역에서 이뤄질 예정이며, 북부인 험버 지역에서는 수소클러스터를 유치하고 순제로 산업 클러스터 계획을 진행 중이다.
정부 정책 근거한 세부 목표, 실현가능성은?
이번 보고서는 영국 정부가 코로나 19 팬데믹에서 벗어나기 위한 '경제 회복 계획'을 마무리짓고 있는 와중에 발표되었다. 정부의 계획은 7월 하반기쯤 발표될 예정이며, 보리스 존슨 총리는 공개연설을 통해 "더 공정하고, 더 푸르고, 더 탄력적인(fairer, greener and more resilient)" 경제를 이끌겠다는 약속을 거듭 강조해왔다.
리시 수낙(Rishi Sunak) 영국 수상은 영국인들이 재생에너지, 청정기술, 건설환경 분야에 종사할 수 있도록 전용 펀드를 출시하고 이 분야에 추가 투자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 목표에 대해 집권당인 보수당은 장기 기후 목표에 비해 녹색 기술과 고용에 대한 진전이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녹색 경제 내 이직률은 아직 1%에 불과하다. 공식 일자리 수치 조사 결과는 2018-2019년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2014년 수준 대비 30%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환경 정책에 대한 정부의 야심찬 목표에 비해 실현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영국 재생가능 에너지 연합(REA, the Renewable Energy Association)는 영국의 친환경 일자리 수를 85% 증가시키기 위한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장관, 기업 및 지역 당국이 협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다. 저탄소 분야의 고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금융 인센티브, 세금 감면 등에 대한 수정과 함께, 분야별ㆍ지역별 세부 목표를 설정하고 '탄소배출 제로' 로드맵 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