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외국인직접투자 허용·세제 혜택…인도, 지열 에너지에 글로벌 자본 유치
인도가 지열 에너지를 새로운 국가 전략으로 채택하며 에너지 전환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인도 신재생에너지부(MNRE)는 15일(현지시각) 첫 번째 국가 지열 에너지 정책을 공식 발표했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이 정책은 방대한 미개발 지열 자원을 제도권 안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인도의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려는 전략적 시도로 평가된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화석연료 의존 낮추고 에너지 안보 강화
인도 정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381개의 온천과 라다크, 히마찰프라데시, 구자라트 등 10개 주요 지열 지대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전통적인 지열 발전은 지하 깊은 곳에서 고온의 염수를 끌어올려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화석연료 기반 발전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99%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지열 발전은 아직 태양광이나 풍력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안정적인 기저부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 독일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지열 발전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폭증하면서 빅테크 기업들이 저탄소 전력 확보 차원에서 지열 에너지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인도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자국 내 잠재력을 활용해 장기적으로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또한 이번 정책은 방치된 석유·가스 시추공을 재활용해 지열 자원 개발에 투입하도록 장려하고, 난방·냉방을 위한 지열 히트펌프 보급도 추진한다. 이는 단순히 발전용 전력 공급에 그치지 않고 산업·주거 전반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 범위를 확장한 것이다.
100% FDI 허용으로 글로벌 자본·기술 유치
정책의 핵심은 민간과 외국인 투자를 끌어들여 지열 산업을 조기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인도 정부는 지열 개발업체와 석유·가스·광물 기업 간 합작투자를 촉진하고, 세금 감면과 수입관세 면제, 사업 타당성 격차 지원(viability gap funding) 등 다양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특히 100%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허용하고 국제 금융기관과 협력해 저리 융자를 지원하는 등, 글로벌 자본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겠다는 방침이다.
사업 기간은 최대 30년까지 보장되며, 자원 상황에 따라 연장도 가능하다. 이는 장기적 관점에서 프로젝트 안정성을 확보하고 투자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인도 정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국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기술 교류를 확대해 지열 산업 생태계를 조기에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지열 발전 설비 용량은 2024년 말 기준 15.4GW로, 미국·인도네시아·필리핀이 선도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국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기술 교류를 확대해 지열 산업 생태계를 조기에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로이터는 이번 발표가 인도가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미개발 자원을 활용해 경제 성장과 기후 대응을 동시에 꾀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