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동향】 관측 사상 가장 더웠던 올해 여름… 절반 이상이 기후변화 영향

- 관측 사상 가장 더웠던 올해 여름… 절반 이상이 기후변화 영향 -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 현상은 아시아에서 특히 두드러져

2025-09-17     김환이 editor
ESG 동향은 지속가능경영 활동, ESG 경영 전략, 사회공헌 프로젝트 등 다양한 ESG 관련 소식을 전달합니다. 보도자료 게재를 원하시면 관련 내용을 master@impacton.net으로 보내주세요. 

 

올해 여름(6~8월)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폭염의 절반 이상이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비영리 기후 분석기관 클라이밋센트럴(Climate Central)이 17일 발표한 '기후변화에 노출된 사람들(People Exposed to Climate Change: June–August 2025)’ 보고서에 따르면, 관측 사상 가장 더웠던 올해 여름의 고온 현상에는 기후변화가 뚜렷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여름철 평균 기온은 1990년대 대비 1.9도 높았고, 6~8월 총 92일 중 53일의 기후전환지수(Climate Shift Index)가 2레벨 이상을 기록했다.

기후전환지수는 클라이밋센트럴이 기상 현상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등급으로 나타내기 위해 만든 지표다. 예를 들어 폭염이 발생한 어떤 날의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이라면, 기후변화가 그 폭염 발생 가능성을 2배 이상 높였다는 뜻이다.

2025년 6-8월 기후 온도/클라이밋센트럴

세계적으로 보면, 올여름 매일 최소 18억 명(전 세계 인구의 22%)이 일평균 기온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기후전환지수 2레벨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7월 19일, 8월 10일, 8월 12일에는 이러한 영향을 받은 인구가 전 세계 인구의 약 50%(약 41억 명)에 이르렀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아시아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타지키스탄의 계절 평균 기온은 1990년대 대비 2.2도 높았고, 기후전환지수가 2레벨 이상을 기록한 일수는 53일에 달했다. 일본 역시 2.1도 상승에 61일간 기후전환지수 2레벨 이상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