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청정에너지 비중 50% 넘겼지만…44GW 재고에 골치
인도가 발전설비의 절반 이상을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생산된 전력이 팔리지 않아 고민에 빠졌다.
프랄하드 조시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각) 국제 에너지 콘퍼런스에서 "비화석연료 기반 발전설비가 252GW에 도달해 전체 설비의 50%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당초 2030년 목표였던 '발전설비 50% 청정에너지 전환'을 5년 일찍 달성한 것이다.
524조원 투자 확보하며 태양광 강국 부상
이번 성과는 정부 주도의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가 핵심 동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도는 2024년 한 해 동안 약 28GW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설비를 신규 설치했으며, 2025년 상반기 인도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2022년 이후 가장 빠르게 증가해 16.3GW를 추가 확보했다.
2025년 6월 기준 대형 수력을 제외한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약 184.6GW에 달했으며, 인도는 수력과 원자력을 포함한 비화석 설비 용량을 2030년까지 500GW로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를 위해 배터리 저장시스템, 재생에너지 부품의 순환 체계 구축, 녹색수소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인도의 청정에너지 성과는 투자 규모로도 확인된다. 인도 현지 미디어 ETEnergyWorld에 따르면, 은행과 산업계로부터 32.45조루피(약 524조원) 규모의 청정에너지 투자를 확보했고, 태양광 모듈 제조 능력은 100GW를 돌파했다.
정부의 PLI(생산연계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약 5조원이 투자됐고, 1만2600개 이상의 직접 일자리가 창출됐다. 조시 장관은 "2028년까지 태양광 셀을 국산화하고, 웨이퍼와 잉곳 생산 계획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비용 경쟁력도 크게 개선됐다. 최근 입찰에서 태양광과 배터리의 전력 단가가 2.70루피/kWh를 기록해 석탄발전보다 저렴해졌다. 조시 장관은 "태양광+배터리가 화력발전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강조했다.
44GW 청정전력, 주정부가 구매 거부
문제는 생산된 청정에너지가 제대로 팔리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로이터는 22일(현지시각) 전했다.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44GW 규모의 청정에너지 전력이 미판매 상태로 쌓여 있다.
주 전력공사들이 전력 가격이 더 떨어지기를 기대하며 구매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조시 장관은 "전력 가격 하락을 기대하는 주정부를 설득하고 있으며, 곧 2차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송전망 확충에도 나섰다. 2030년까지 537GW 재생에너지 송전 계획을 마련해 청정에너지를 전국으로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