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주(州)들, PJM에 집단 반발…전력요금·기후정책 정면 충돌

2025-09-30     고현창 editor

미국 동부·중서부 주들이 전력요금 급등 문제로 뭉치고 있다. 이들이 지목한 대상은 미국 7개 지역 최대 규모의 송전조직인 PJM 인터커넥션(PJM Interconnection)으로, 공화당과 민주당 주지사 모두 PJM의 운영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

카나리미디어가 26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PJM은 올해 연간 전력 공급에 필요한 자원 확보를 위한 용량 경매에서 161억달러(약 22조원)라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의 22억달러(약 3조원)보다 크게 늘어난 규모다.

 

전력요금 급등, PJM 운영권 두고 주(州) 반발 고조

PJM은 워싱턴 D.C.,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버지니아 등 13개 주 6500만명 이상 고객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미국 최대 전력망 운영기관이다. 그러나 회원 주들은 수년간 PJM이 전력시장 운영과 송전 관리에서 성과가 미흡하다고 비판해 왔다.

전력요금 급등의 배경에는 데이터센터 확충으로 인한 수요 증가 전망이 자리한다. PJM은 청정에너지와 배터리 프로젝트에 대한 대규모 대기 물량을 확보하고 있지만, 이를 실제 활용하는 데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또한, 고비용 화석연료 발전소의 존속을 주장해 더욱 논란을 키우고 있다.

이런 갈등은 지난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11개 주지사 회동에서 다시 불거졌다. 펜실베이니아주 민주당 소속 조시 샤피로 주지사와 버지니아주 공화당 소속 글렌 영킨 주지사는 “주들이 의사결정에 더 큰 권한을 갖지 못한다면 PJM을 떠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전력 부족과 신뢰 위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 개혁이 즉각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마누 아스타나 PJM 사장 겸 CEO는 비용 절감을 위해 수요예측 개선, 전력망 연결 절차 개선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동시에 주 정부들 역시 발전소 입지와 인허가 규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워싱턴애널리시스(Washington Analysis)의 로브 레인스 연구원은 회원 주들의 PJM 이탈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 자체 전력 조달을 추진할 경우 단기적으로 오히려 PJM보다 높은 가격에 전기를 구매해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주지사들은 PJM을 압박해 시장 안전장치를 강화하고 가격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클리어뷰 에너지 파트너스(ClearView Energy Partners) 역시 회원 주들이 신규 발전 프로젝트를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美 전력사 절반 이상 ‘F’ 평가…청정에너지 전환 후퇴

PJM을 비롯한 미국 전력사들이 청정에너지 전환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채 화석연료 의존을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환경단체 시에라클럽이 26일 공개한 ‘더티 트루스 2025’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50개 모기업·75개 전력사를 분석한 결과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15점으로, 2021년보다 3점 하락했다. 이들 전력사는 2030년까지 석탄 발전의 29%만 폐쇄하고, 2035년까지 118GW의 신규 가스발전소 건설을 계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전력사들이 석탄과 가스 사업 축소 및 재생에너지 대체 등의 지표에 있어서 오히려 21년보다 더 악화된 성적을 보였다고 ‘더티 트루스’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전력사들이 2035년까지 청정에너지 설비를 확충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화석연료 발전과 수요 증가분을 합쳐도 32%만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전력 수요 증가 전망은 매년 늘고 있으나, 청정에너지 전환 계획은 속도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청정에너지 확대보다 화석연료 투자가 앞서면서, 전력사들이 약속과 달리 소비자에게는 높은 전기요금과 오염된 전력을 떠넘기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시에라클럽은 이번 보고서에서 전력사들이 석탄·가스 발전에 대한 의존을 줄이지 않고 그린워싱을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75개 전력사 중 절반 이상이 기후 대응 성과에서 ‘F’ 등급을 받았으며, 공급망 전반의 청정에너지 투자가 지연되는 현실은 미국의 기후 리더십에도 부담이 된다고 경고했다. 단체는 “전력사들이 값비싼 화석연료 발전 대신 저비용의 청정에너지로 전환해야만 가격 안정과 기후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