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부펀드, 폐기물 발전소 10월 가동…33개 도시로 확대
인도네시아 국부펀드 다난타라 인도네시아(Danantara Indonesia)가 10월 말까지 최소 8개의 폐기물 발전소 프로젝트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로이터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사업은 급증하는 도시 쓰레기 문제에 대응하고 동시에 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리기 위한 인도네시아의 국가 전략 핵심 과제로, 향후 10년간 전국 33개 도시로 확대된다.
인니 폐기물의 61%가 방치, 27억달러로 폐기물 발전소 건설
인도네시아는 매년 약 3500만 톤의 폐기물을 배출하지만, 이 중 61%가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고 방치된다. 이로 인해 대기·토양·수질 오염이 심화되고 있으며, 환경 문제를 넘어 국민 건강과 정치적 부담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수도 자카르타는 쓰레기 매립지 부족과 오염으로 인한 시민 불만이 커져 이번 사업의 1순위 지역으로 지정됐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2025~2034년 전력 공급 계획에서 총 453MW(메가와트) 규모의 폐기물 발전소를 건설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예상 투자액은 27억달러(약 3조7895억원)에 달한다. 이는 도시 쓰레기 처리 비용 증가와 더불어 석탄 중심의 전력 구조를 다변화하려는 정부 정책을 반영한 것이다.
다난타라 인도네시아의 CEO 로산 루슬라니(Rosan Roeslani)는 “우선 자카르타에서 4~5개 발전소를 건설하고, 이후 자바·발리 지역 주요 도시들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프로젝트는 국제 기술 제공업체들과의 협력 아래 추진되며, 국영 전력사 PLN(Perusahaan Listrik Negara)이 발전된 전력을 장기 구매해 안정성을 보장한다. 폐기물 1000톤을 매일 처리할 경우 약 15MW의 발전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전소 건설에는 통상 2조루피아(약 1684억원)에서 3조루피아(약 2526억원)가 소요된다.
다난타라의 스테파누스 아데 하디위자야(Stefanus Ade Hadiwidjaja) 전무이사는 “현재 금융 구조를 검토 중이며, 공공 자본과 민간 자본을 혼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폐기물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목표로 국부펀드 직접 참여
인도네시아 정부는 폐기물 발전소 추진 과정에서 지방정부의 부담을 덜기 위해 과거 부과하던 ‘폐기물 반입 수수료(tipping fee)’를 폐지했다. 대신 국부펀드 다난타라가 기술 검토와 타당성 조사 비용을 직접 부담해 지방정부의 참여를 유도한다.
지방정부가 맡을 역할은 발전소 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전소 한 곳을 짓기 위해서는 약 5헥타르(1만5000평)의 부지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는 과거에도 폐기물 발전소 사업을 추진했지만, 높은 초기 투자비와 인허가 지연, 지역사회 반대 등으로 번번이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번에는 국부펀드가 직접 자금을 투입하고 국영 전력사가 전력 구매를 보장하는 구조를 마련해 위험 요인을 최소화한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