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퀸즐랜드, 탈석탄 철회…연방 기후 목표에 먹구름

2025-10-14     홍명표 editor
 호주 대륙의 이미지, 오른쪽 상단에 퀸즐랜드 주가 보인다./픽사베이.

호주 주요 석탄 생산지인 퀸즐랜드주(australias-queensland)가 탈석탄 정책을 공식적으로 뒤집고, 석탄 발전소를 최소 2040년대까지 가동하겠다고 선언했다. 로이터와 블룸버그 등은 10일(현지시각) 퀸즐랜드 주정부가 석탄·가스·수력 발전소의 유지와 신규 투자를 포함한 5개년 에너지 로드맵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퀸즐랜드, 석탄발전 폐쇄 계획 공식 철회

퀸즐랜드는 전력의 약 60~65%를 석탄으로 생산하는 대표적인 석탄 의존 지역이다. 이 주는 또한 전 세계 석탄 수출의 약 8분의 1을 차지하며, 지난해 458억호주달러(약 42조6984억원) 규모의 석탄을 수출했다. 주정부는 같은 해 55억호주달러(약 5조1268억원)의 로열티 수입을 올렸다. 지역 경제에서 석탄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크다는 점이 정책 유턴의 배경으로 꼽힌다.

퀸즐랜드 주는 호주의 자유국민당(LNP)이 지난해 총선에서 집권하면서 전임 노동당 정부가 추진하던 2035년 재생에너지 80% 달성 목표와 석탄 발전 중단 계획을 폐기했다.  데이비드 자네츠키(David Janetzki) 퀸즐랜드 재무장관 겸 에너지장관은 “이전 정부의 이념적 결정이었던 석탄발전 폐쇄 방침은 공식적으로 철회됐다”며 “우리 주의 석탄 발전소는 국가에서 가장 젊고 효율적이며, 시장이 필요로 하는 한 계속 가동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계획은 이념이 아닌 경제와 공학에 기반한 실용적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새 로드맵에 따르면 퀸즐랜드 주정부는 향후 5년간 석탄·가스·수력 발전소 유지에 16억호주달러(약 1조4910억원)를 투입하고, 민간의 재생에너지·가스·에너지 저장 분야 투자 유치를 위해 4억호주달러(약 3730억원)를 추가 지원한다. 또 신규 가스 발전소를 건설하고, 석탄발전소는 설계 수명까지 운영하며, 필요시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일부 설비는 최소 2046년까지 가동될 전망이다.

 

호주 연방정부의 감축 목표와 충돌…청정에너지 투자 신호 ‘혼선’

이번 정책 변화는 호주 연방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호주 연방정부는 지난달 2035년까지 2005년 대비 62~70%의 배출량 감축 목표를 확정했지만, 석탄 비중이 높은 퀸즐랜드의 방향 전환으로 달성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블룸버그NEF는 “석탄발전 유지 방침은 퀸즐랜드의 청정에너지 투자 신호를 약화시키고, 호주 전체의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을 흔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비영리단체 세계자연기금(WWF) 호주 지부는 이번 로드맵을 “더 많은 산불·홍수·폭염을 부를 근시안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야네츠키 장관은 이에 “석탄 발전을 유지하면 전력망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소비자 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반박했다. 장관은 이어 "석탄 유지와 병행해 2030년까지 풍력·태양광 6.8GW, 가스 0.6GW, 에너지 저장 3.8GW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