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그린수소 전략, 500만톤 ‘2030의 벽’…수출 둔화에 내수로 선회
인도가 2030년까지 연간 500만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산토시 쿠마르 사랑기 인도 신재생에너지부(MNRE) 차관이 11일(현지시각) 뉴델리에서 열린 산업 콘퍼런스에서 “인도 수소 생산기업들이 공급 과잉을 우려해 프로젝트 일정을 늦추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 그린수소 생산, 2030년 300만톤…500만톤 목표는 2032년 달성 예상
사랑기 차관은 “인도의 그린수소 생산능력은 2030년까지 약 300만톤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기존 목표인 500만톤은 2032년경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전체 생산량의 약 70%는 유럽, 일본, 한국 등 주요 시장으로 수출되고, 나머지는 주로 비료 및 정유 산업에서 소비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정연료 의무화가 잇따라 늦춰지며, 전 세계 수소 수요 전망도 흐려지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달 해운업계의 친환경 연료 전환 의무화를 위한 표결을 연기했다. 인도 정부도 산업계에 그린수소·암모니아 사용을 의무화할 계획이었지만, 비용 부담이 커지자 철회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한때 탄소중립의 핵심 해법으로 주목받았던 그린수소 산업이 높은 비용과 기술적 제약으로 대규모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개발사들이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프로젝트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미국 수소에너지 전문 기업 플러그파워는 10일 미 에너지부(DOE) 대출 프로그램 관련 활동을 중단하고 2억7500만달러(약 4030억원) 규모의 유동성 확보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1월 16억6000만달러(약 2조4330억원) 대출보증을 받은 지 불과 10개월 만이다.
그린수소 수출 수요 불확실성 커져…내수 시장 조성할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저렴한 태양광·풍력 발전 단가를 바탕으로 글로벌 주요 그린수소 생산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수소 수송 인프라 구축도 진행 중이다. 인도 항만청은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및 벨기에 앤트워프항과 그린에너지 해상운송 회랑 구축을 논의 중이다. 인도태양에너지공사(SECI)는 해운사들의 그린메탄올 수요를 모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랑기 차관은 “유럽 각국이 재생에너지 목표를 둘러싼 정책 결정을 미루면서, 향후 인도의 수소 수출 수요에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다만 “인도가 여전히 탄탄한 내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석유천연가스규제위원회와 협력해 정유공장 대상 그린수소 공급 입찰을 추가로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청정연료의 안정적 국내 시장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생에너지 부문의 수요 부족은 인도 정부 목표 달성에 전반적인 제약이 되고 있다. 사랑기 차관은 올해 회계연도 중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입찰 횟수를 줄이고 이미 낙찰된 프로젝트의 전력 구매계약 체결을 우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도 정부는 아직 전력 구매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약 44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재검토 중이며, 실현 가능성이 낮은 사업은 중단하도록 권고했다. 사랑기 차관은 “구매자가 없는 프로젝트 문제를 사전에 정리해두려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