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Insight】 기업지배구조원 말한 '내부 탄소세', 2000개 이상 기업 "도입한다"...CDP 보고서

2021-05-11     박란희 chief editor

세계 2000개 이상의 기업이 내부 탄소세(가격)을 운영하거나 운영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이 27조달러(3경6000조원)로, 지난 2017년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보고서 당시 7조달러(7700조원)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DP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 500대 기업의 절반에 달하는 226개 기업이 현재 내부 탄소세를 책정하거나 향후 2년 내에 책정할 계획으로 나타났다. 2017년 보고서 이후 두 배 가량 늘어났다. 

5900개 이상 기업이 탄소정보 데이터를 CDP에 공개했는데, 현재 내부탄소세를 시행중인 기업은 853곳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고, 내부탄소세 운영을 계획하는 기업은 1159곳으로 전년대비 26.6% 늘어났다. 2014년만해도 150곳에 불과하던 내부 탄소세 도입이 비약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내부 탄소세를 도입했거나 도입 계획 중인 기업/ CDP 

산업군별로 봤을 때, 가장 높은 부문은 금융 서비스 부문으로 전년 대비 6.2% 가량 늘었다. 탄소 배출 규제 압박이 높은 전력 및 화석연료 기업의 내부 탄소세 도입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제조업에서는 전체의 3분의 1에 달하는 29% 가량의 기업이 내부탄소세를 도입했다.  

화석연료와 발전부문의 내부 탄소세 도입 비중이 높았다./CDP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 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아시아에서 내부 탄소세를 도입한 기업의 숫자가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시아 기업 796개 기업이 내부 탄소세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기업이 27% 이상 증가했다. 이는 유럽기업 661곳보다 더 많았다. 

아시아 기업의 내부탄소세 도입이 유럽이나 북미 기업보다 더 많았다./CDP

 

한편, 10개 기업 중 5개 기업이 2020년에 ‘그림자 가격정책(Shadow Price)’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내부 생산과정에서 탄소를 원가에 반영하면, 탄소중립을 유도하는 제품이나 서비스 설계를 유도할 수 있다. 2020년 내부 탄소세를 도입한 기업의 90%가 스코프1(Scope1) 배출을 커버했다. 내부 벌금(수수료) 형태는 MS가 도입하는 정책인데, 내부 벌금의 수익은 저탄소펀드 설립에 사용하는 형태다. 

그림자 가격 정책이 가장 많았고, 묵시적 가격 정책 및 내부 벌금제도가 그 뒤를 이었다./CDP

 

세부적인 방법론을 들여다보면, 과학적감축목표(SBTi)를 제시하거나(24.5%),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관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연구개발기금 지원(27%), 절대적인 감축목표 제시 (57.2%), 일정 비율의 재생에너지 조달(19.5%)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했다. 

 

한편, 10개 기업 중 6곳이 내부 탄소세를 운영하는 목적에 대해 저탄소 투자 추진(61%), 에너지 효율화(58.4%), 내부 행동 변화 (55.2%) 등이라고 밝혔다. 41% 이상의 기업이 내부 탄소가격 책정의 목적 중 하나는 국가에서 도입되는 ‘온실가스 규제’ 때문이라고 밝히면서, 기업 외부의 다양한 정부 규제로 인해 내부 탄소세 압박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내부 탄소 가격은 얼마 정도로 책정될까. 내부 탄소세 중간값은 Co2톤당 25달러(2만7000원) 정도였다. 하지만 올해 EU 배출권거래제에서 탄소가격이 사상 40유로 이상 돌파하는 등 외부의 탄소가격 상승이 예상되면서, 기업의 내부탄소세 가격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이번 조사 결과, 1113개 기업이 정부의 탄소 규제 대상임을 공개했다. 717개 기업이 향후 3년 내에 규제가 닥쳐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탄소세에 대한 노출은 2019년 318% 증가했다.

기업 내부 탄소세의 중간값/CDP

 한편, 1830개 회사가 외부의 탄소규제에 노출돼있지만, 60%의 기업은 실질적인 정책을 도입하지 않아 투자자들이 정보 격차를 잘 살펴봐야 한다고 CDP 보고서는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