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스프레소 직원 118명, NYU스턴 경영대 교육 후 달라진 것은?...미 MBA, 지속가능 프로그램 속속 도입

2021-05-14     박란희 chief editor

스위스의 다국적 식품기업 네슬레 산하 브랜드 네스프레소의 ‘캡슐 커피’로 연간 매출액 63억달러(7조원)를 올린다. 조지클루니의 광고를 포함해 한 잔 분량씩 전용커피캡슐을 넣고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는 편리함 때문에 전 세계에서 열광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네스프레소의 알루미늄 캡슐은 생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한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캡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았다.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커피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 네스프레소는 NYU스턴 경영대학원과 손을 잡았다. 118명의 참여자들에게 맞춤형 지속가능성 관련 교육을 진행한 것이다.

교육에 참여한 직원들은 네스프레소 커피를 조달하는 코스타리카의 커피농장에서 3일을 지낸다. 이들은 이런 경험을 통해 2003년부터 ‘열대우림동맹(Rainforest Alliance)’과 함께 진행해온 ‘지속가능한 조달(sourcing)’ 프로그램을 경험적으로 이해하고, 사업의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보면서 다른 시각으로 사업을 보는 법을 배웠다.

Your Top 10 Nespresso Questions Answered - Which?

이 과정을 통해 네스프레소 직원들은 기존의 사업방식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UPS와 함께 네스프레소 캡슐의 재활용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전국의 8만8000개 지점에 다 쓴 캡슐을 보낼 수 있도록 소비자 캠페인을 벌였다. 스위스 명품 브랜드 ‘빅토리아녹스’와 함께 재활용 캡슐로 만든 군용칼을 선보이기도 했다. 2016년 17%에 불과하던 미국의 캡슐 재활용률은 32%까지 높아졌다. 글로벌 캡슐 재활용률은 30% 가량이다.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하스경영대학원, 켈로그 경영대학원

지속가능교육 맞춤형 프로그램 도입

비즈니스의 지속가능성을 이해하고 포용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업들의 발걸음이 빨라지자, 미국 경영대학원(MBA) 교육방식 또한 바뀌고 있다고 FT가 최근 보도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하스(Haas) 경영대학원은 지속가능성을 비즈니스 전략에 통합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5월 시작한다. 하스 책임경영센터의 로버트 스트랜드 최고 책임자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가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했다”며 “불평등을 노출하고 악화시키고 있는 자본주의의 서사를 바꾸고 기업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노스웨스턴대 켈로그 경영대학원 또한 “기업 고객들이 점점 더 사회적인 목적, 직원 복지, 다양성과 포용 등과 같은 맞춤형 프로그램을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 수요가 오히려 공급을 앞서는 상황이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런던경영대학(London Business School)은 지난해 온라인 지속가능경영 리더십과 기업책임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임원 수가 예상보다 4배 많았다고 한다.

 

금융전문가들, 기후를 배워라... 컬럼비아대 '기후학교'와 독점 제휴도

한편, 글로벌 금융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를 제대로 배우기 위해 다시 학교를 찾고 있다. 자산운용사인 얼라이언스번스타인(AllianceBernstein)은 2019년 250명의 투자자들을 학교로 보냈다. 컬림비아대 ‘기후학교(Climate School)’과 독점적인 제휴를 맺고, 향후 3년간 기후변화와 금융서비스에 관해 ‘장기적이고 심도있는 연구’ 협력을 하기로 했다. 기후 리스크와 포트폴리오에 관한 통찰력을 높이기 위한 과감한 투자다.

유럽투자은행(European Investment Bank)는 스위스의 IMD경영대학원을 찾아 ‘기후은행 구축하기(Building a Climate Bank)’라는 맞춤형 강좌를 개설했다. 이 과정은 EU의 택소노미(Taxonomy, 녹색분류체계)를 포함해 진화하는 지속가능금융 입법에 발맞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목적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일부 대학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손꼽힌다. SK의 경우 사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ESG 관련 교육커리큘럼을 직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인하대의 경우 국내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가능경영 MBA를 운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양대 또한 올해 ESG MBA 프로그램을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