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문제 한번에 터진 쿠팡...평판 회복 가능할까
쿠팡이 물류 창고 화재, 새우튀김 갑질, 김범석 의장 사임에 이어 검색어 조작과 납품업체 갑질 의혹이 제기됐다. ESG 문제가 한번에 터진 셈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쿠팡의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를 포착하고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쿠팡은 상품 검색 알고리즘을 조작해 PB 상품(자체 브랜드 상품)을 다른 납품 업체 상품보다 상위에 우선 노출되도록 했다는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는 추가로 쿠팡이 납품업체에 최저가로 상품을 공급하도록 요구하거나 광고 구매를 강요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줬다는 의혹도 조사 중이다.
쿠팡은 지난 17일 발생한 경기도 이천 쿠팡 덕평물류센터 화재 이후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문제가 연이어 불거졌다.
쿠팡은 최근 물류창고 화재 이후에 근처 하천에서 1800여 마리의 물고기가 폐사한 사건과 인근 마을 주민들이 눈 따가움과 두통 증상을 호소하고 화재로 발생한 검은 재가 차량, 농작물, 토양 피해를 유발한다는 주장 등으로 환경(E) 부문에서 큰 리스크가 발생했다.
쿠팡은 화재 사건과는 별개로 택배 배송물량이 많아 온실가스 배출량과 포장재 과다 발생으로 인한 환경(E) 이슈가 잠재돼있었다. 지난 28일 아시아 경제는 ‘ESG 강화하는 쿠팡… 제2의 프레시백 만든다’라는 기사를 단독으로 보도했는데, 이는 쿠팡이 5월부터 협력업체들과 친환경 포장재를 개발하고 발굴해서 비닐 포장재 대부분을 친환경 포장재로 바꾼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이런 친환경 노력은 S와 G 이슈로 인해 전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S) 문제와 관련해서, 쿠팡 물류창고 화재 때 경보기가 울렸지만 제대로 된 관리자의 조처가 없었던 점이 지난 21일 KBS에서 보도되는 등 내부 안전관리 소홀이 이슈가 됐다. 쿠팡에서 택배를 담당했던 직원 9명이 사망한 사건뿐 아니라 물류창고 내부 직원들의 휴대폰 반입 금지 등 직원 안전사고 및 인권 침해 또한 문제로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뿐 아니라 최근에는 '새우튀김 갑질' 문제로 인해 공급망 관리가 부실하다는 비판까지 받았다.
‘새우튀김 갑질’ 문제는 서울의 한 분식집 주인이 ‘새우튀김 3개 중 1개의 색깔이 이상하니 환불해달라’는 고객의 민원 때문에 쿠팡이츠 고객센터와 통화하던 중 뇌출혈로 의식을 잃고 숨진 사건이다. 쿠팡은 이 일로 가맹 업체의 점주를 블랙 컨슈머의 갑질과 배달 앱 악성 리뷰로부터 보호하지 못한 문제를 지적 받고 있다.
이번에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하는 쿠팡의 '상품 검색 알고리즘 조작'과 '납품 업체 갑질 문제'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에는 사회(S) 문제가 하나 더 추가된다.지배구조(G) 문제는 쿠팡이 환경(E), 사회(S) 문제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범석 의장이 사임한 사건이다. 김범석 의장의 사임은 중대재해처벌법의 처벌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혹을 받고 있다. 쿠팡은 김범석 전 의장의 사임일자가 지난달 31일로 화재가 발생하기 17일 이전이고 사임등기 완료 후 공개 시점이 공교롭게 화재 당일과 겹쳤다는 입장을 밝혔다. 쿠팡이 ESG 문제를 복합적으로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사회 의장이 사임은 지배구조(G) 이슈로 부각되면서, 17만명 넘게 #쿠팡탈퇴 인증 행렬을 이어가는 계기가 됐다.
쿠팡의 이번 ESG 리스크는 물류창고 화재가 계기가 됐지만, 상장 당시에도 S(사회) 이슈에 대한 우려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례 없는 ESG위기 상황을 극복해, '한국의 아마존'이라는 브랜드네임에 걸맞는 평판을 받을지 소비자의 외면으로 이어질지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