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기업 중 24곳, 경영진 보수에 ESG요소 반영...KCGS 보고서, 사회(S) 항목이 가장 많아

2021-07-19     김효진 editor
국내 코스피 100대 기업 가운데 24곳이 경영진 보수에 ESG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픽사베이

 

국내 코스피 100대 기업 가운데 24곳이 경영진 보수에 ESG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5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발간한 ‘경영진 보수와 ESG 지표간 연계현황’(이동우 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0 사업보고서에 공시된 등기임원 및 경영진 보수산정 내역 조사 결과 24곳이 경영진 보수와 ESG 요소를 연계했다. 

24곳 중 18곳은 사회(S) 영역 지표를 도입했으며, 지배구조(G)는 6개사가, 환경(E)는 4개사가 연계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단기 상여 연계기업(16개사)이 장기(4개사)보다 많았다.

삼성전자의 경우 ▲ESG 준법 대응 강화로 지속가능경영의 기반을 공고화 ▲전임 이사회 의장으로서 ESG 강화방안 제시가 고려항목에 포함됐다. 

사회(S) 항목이 담긴 기업으로는. 네이버(소상공인을 위한 노력), 셀트리온(사내문화), 포스코(사람 분야에서의 장기경쟁력 향상 노력에 대한 정성평가), SK텔레콤(Social Value(사회적가치) 창출 성과 달성), LG(CSR 전략수립 실행, 안전/환경 등 중점 추진과제 이행), SK(구성원 행복), 삼성생명(소비자 중시 경영체제 구축), 삼성SDS(사회공헌 등으로 구성된 비계량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 하나금융지주(손님 행복), S-Oil(사회적 책임활동), 오리온(동반성장경영), 쌍용C&E(안정적 노사관계 유지), 신세계(9to5 근무문화 정착), 현대해상(소비자보호 등의 항목별 목표달성) 등이었다.

지배구조(G) 항목이 담긴 기업으로는, 삼성물산(거버넌스 체계를 개선), KT&G(지배구조 고도화), KT(지배구조 개선), 롯데지주(주주환원정책 강화) 등이었다.

이 연구원은 “구체적인 ESG 지표 평가 기준과 산정방식, ESG지표가 상여 산정 시 차지하는 비중 등에 대해 충분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보수 체계가 유인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며 “금호석유화학 및 오리온의 경우 이와 관련한 공시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편, 롯데그룹, 현대자동차 등 일부 기업의 경우 경영진 평가에 ESG를 고려하겠다고 발표했지만, 2020 사업연도 보수산정 내역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는 기업도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기업들은 ESG지표를 대부분 단기성과 보수에 연계하고 있으나, 장기성과 보수(long-term incentive plan)에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ESG 지표 중에서도 사회(S) 지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부 자료에 따르면 환경(E) 지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51%, ESG와 경영진 보수 연계

해외 기업의 경우 ESG 요소와 보수를 연계하는 흐름은 국내보다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ISS ESG 조사결과, 국가별 ESG-보수 연계기업 중 최상위권에 속한 기업으로는 프랑스 51%, 스페인 48%, 이탈리아 43% 등이었다. 경영컨설팅그룹 윌리스 타워스왓슨(WTW)에 따르면, 유럽 주요 지수 기업 중 ESG와 보수를 연계한 기업 비율은 63%에 달했다. PwC에 따르면, 영국 FTSE 100의 45%가 ESG와 보수를 연계했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기업은 유럽에 비해 보수 연계 비율이 낮았다. ISS ESG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7.8%만이 ESG 인센티브를 갖추었으며, ISS와 펄마이어(Pearl Meyer)의 조사에 따르면 S&P 500 기업의 15~20%가 ESG와 보수를 연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영컨설팅그룹 조사에서는 비율이 더 높게 나왔다. 윌리스 타워스왓슨(WTS)은 S&P 500의 52%가, GECN그룹은 S&P 100기업의 56%가 ESG와 보수를 연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동우 연구원은 “경영진 보수 산정 시 ESG를 포함시킴으로써, 기업의 우선순위와 실행 의지를 전달하고 ESG 경영을 유도해 기업 지속가능성 제고하고 장기 주주가치 극대화할 수 있다”면서도 “잘못된 ESG 지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할 경우, 재무적 성과를 등한시하거나, 여러 ESG 성과 중 보수와 연계된 일부에만 집중하는 등 인센티브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