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금융당국, ‘녹색채권 공통 플랫폼 구축’...국내 기후채권은 하나도 없어
일본 금융청(FSA, Financial Services Agency)이 녹색금융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금융권의 '녹색채권 공통 플랫폼 구축'과 함께 '은행의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시나리오 마련' 등의 내용을 담은 새로운 규제지침을 발표했다고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녹색 금융이란 환경, 에너지 등과 관련된 금융 활동을 통합적으로 일컫는 말로, 환경 개선, 금융산업 발전,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금융 형태를 뜻한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선 상당한 규모의 녹색 금융 흐름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의 금융관련 법규 및 제도의 기획입안과 금융기관 전체를 관리·감독하는 FSA는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녹색금융 활성화를 목표로 크게 2가지 내용을 담은 규제지침을 지난 31일 발표했다.
규제지침에 따라, FSA는 일본 중앙은행(BOJ, Bank of Japan)과 협력해 일본 3대 대형 시중은행(메가 뱅크)과 보험사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해 이들의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 회복탄력성을 측정할 방침이다. 이 결과는 내년 6월까지 검토되어 기후변화에 따른 금융권 리스크를 식별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FSA는 녹색채권 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발행기관과 투자자들이 녹색채권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을 구축해 일본 거래소 그룹(Japan Exchange Group)과 운영해 나갈 방침이다.
규제 지침 발표와 함께, FSA는 “시장 참여자들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투자 결정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속적으로 금융당국과 협력해 녹색금융 활성화 촉진에 앞장서겠다고 의지를 피력했다.
일본은 자연재해 빈도수가 높은 나라 중 하나로 매년 홍수 등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기후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이러한 영향으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지난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공표했다.
탄소중립을 위해 많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일본의 녹색채권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글로벌 수준에 비해 소규모라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녹색채권의 전세계 규모가 3000억 달러(347조7000억원)로 추산되는데 그중 일본이 차지하는 규모는 70억 달러(8조1100억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한편, 국내에선 ESG 열풍 가운데 금융권이 앞다퉈 관련 채권을 발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기후채권’은 발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그룹은 올해 총 4조8102억원 규모의 국내외 대상의 ESG 및 녹색채권을 발행했다. 무엇보다, 국민연금이 내년까지 전체 운용자산 중 ESG 관련 기업 비중을 50%까지 확대한다고 밝혀 ESG 채권 규모는 더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내 5대 금융의 기후채권 발행은 '0원'으로 실적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기후채권기구(CBI)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권은 지금까지 약 1조3000억 달러(1506조원)의 기후채권을 발행했으며, 올해에만 4000억달러(463조6000억원) 규모의 기후채권이 발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