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채권・해외자산 ESG 구체화 부족하다
국내주식 자산에 대해서는 ESG 구체화, 채권・해외자산은 구체적인 논의 이뤄지지 못해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적용 방안이 국내주식 자산에 대해서는 구체화되었으나, 채권이나 해외자산에 대해서는 구체적 논의가 부족하다는 국민연금연구원의 보고서가 최근 발표됐다. 국민연금연구원의 '연금포럼' 제82호(2021년 여름호)에 실린 ‘해외 주요 연기금의 ESG 투자전략 및 시사점’은 ESG 투자 활동에 가장 적극적인 글로벌 주요 연기금의 ESG 투자 현황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작성한 보고서다.
이 보고서에서 조은영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글로벌 주요 연기금인 캐나다의 CPPIB, 일본의 GPIF, 네덜란드의 ABP를 중심으로 ESG 투자전략을 살펴본 결과, “해외 연기금은 전체 자산군의 투자의사 결정과정에서 ESG 요인을 재무적 요인과 함께 고려하는 ESG 통합 전략을 구사한다”면서 “일부는 적극적으로 ESG 관련 자산에 투자했고, 최근에는 그린본드나 친환경 대체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ESG 투자를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경우 “상당 수준 논의가 이루어진 국내주식 운용과 달리, 채권 및 해외자산에는 어떤 방식으로 ESG 요인을 고려한 투자를 적용할지 구체적인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라고 했다.
채권이나 해외자산에 어떤 방식으로 ESG 고려할지 고민해야
국민연금은 전체 자산군의 투자의사 결정과정에서 자산군별로 ESG 요소를 고려하는 책임투자 원칙을 갖고 있다. 현재 자체적인 ESG 평가체계가 있으며, 이에 따른 평가 결과를 국내주식 투자의사 결정과정에 반영하고 있다. 평가 결과 ESG 등급이 ‘D’인 종목은 벤치마크를 초과해 편입하지 못하게 하는 ‘D캡’ 정책을 마련했으며, 이를 국내주식 자산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이에 관해 조은영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D캡은 국민연금이 국내 자산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투자배제 전략을 보다 시장의 환경에 맞게 조화시킨 스크리닝 전략으로 사료된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채권이나 해외자산에 대한 ESG 구체화를 위해 “각 자산군에 어떤 방식을 통해 ESG를 고려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ESG 공시 활성화, ESG 평가체계에 대한 합의 등 필요
이뿐만 아니라 ESG 투자 실효성이 계속 논란되는 가운데 ESG 투자가 수익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ESG 공시 활성화, 적정한 ESG 평가체계에 대한 합의, ESG 투자에 대한 가치 정립 및 투자 정책의 명확화 등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조은영 부연구위원은 “ESG가 장기적 수익성을 확보하면서도 안정성을 대표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ESG 공시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적정한 ESG 평가체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많은 기관에서 ESG를 주장하지만, 합의된 가치체계 및 투자정책이 부재한 현실을 지적하며 “무엇보다 ESG 투자에 대한 가치 정립 및 투자정책의 명확화와 사회적 합의가 선행되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ESG 공시체계, ESG 평가체계, ESG 가치 정립 및 투자정책의 명확화 등이 이루어져야 지속가능한 ESG 투자와 ESG 경영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