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팎으로 큰소리 나는 COP26 …의미 있는 합의안 나올까
탄소중립시기,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2050년 아닌 '금세기 중반' 일본 온실가스 감축량 거래 중재안 마련 환경 단체 시위대 11월 6일 글래스고에 10만 명 모일 것
세계 130여 개 나라가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참여했다. COP26에서 각국 정상들은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2050년 탄소중립 합의, 파리협정 세부이행규칙(Paris Rule Book), 탄소시장 관련 합의를 진행한다.
COP26에서 합의할 사항은 각국의 산업과 경제와 밀접히 맞닿아 있기 때문에, 개막부터 행사 곳곳에서 큰소리가 오갔다. 행사 내부에서는 탄소중립 시기, 온실가스 감축 거래 규칙을 두고 충돌이 있었다. 행사장 밖에서는 더욱 강력한 기후 대책을 요구하는 시위대가 모이고 있다.
의장국인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는 로마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여한 후, 기후 위기 대응에 대한 합의가 ‘바다에 있는 물 한방울’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하며, “COP26이 실패하면 모든 것이 실패하는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2050년 아닌 ‘금세기 중반’ 탄소중립
지난 30~31일(현지시각) 로마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하로 억제하도록 모든 나라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공동선언문을 통해 밝혔다. 이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의 실천 의지를 다시 확인한 것으로, 한국, 미국, EU 등이 2030년 NDC 목표와 2050년 넷제로 달성 목표를 들고 회의에 참여한 것과 관계있다.
의장국인 이탈리아는 탄소배출 주요국들은 2050년이라는 구체적인 목표 달성 기간을 결정하자고 제안했으나, 2060년 넷제로 선언을 한 중국과 러시아 강력히 반발하여 제안은 무산됐다. 정상들은 결국 2050년까지가 아닌 ‘20세기 중반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다소 모호한 표현으로 합의한 채 회의장을 나왔다.
일본의 새 온실가스 감축량 거래 방안...찬성과 반대
일본은 COP26에서 온실가스 감축량 거래 규칙에 대한 중재안을 낼 예정이라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보도했다. 온실가스 감축량 거래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기술이나 자금 지원을 하고, 이로 인해 개도국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면 줄어든 만큼을 선진국의 감축량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온실가스 감축량 거래는 파리기후변화협약 포함된 내용이지만 구체적인 이행방안이 도출되지는 않았었다. 일본이 제시안 감축량 거래 규칙에서 쟁점이 되는 부분은 1997년 교토의정서에 따라 부여된 과거 감축량을 파리협정 체제로 이관해 사용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다.
브라질과 인도 등 신흥국은 이관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이 국가들은 크레딧을 이미 보유하고 있고 감축량 이관이 안되면 자국 시장에서 관련 수익이 사라진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EU는 감축량 이관을 허용하면 온실가스 감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하는 입장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과거 감축량의 이관을 일부 인정하면서 기한에 상한을 두는 중재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행사장 밖, 시위대 10만 명 구름처럼 모일 것
COP26의 행사장 밖에서는 정상들이 더욱 강력한 기후 정책에 합의하도록 요구하는 환경단체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COP26 회의 개막 전날인 30일(현지시각)에는 글래스고의 부둣가에서 ‘바다 저항’이라는 환경단체 소속 활동가들이 인어 분장을 하고 플라스틱 쓰레기와 함께 어망에 잡힌 모습을 연출하는 시위를 벌였다.
스웨덴의 환경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도 이날 글래스고에 도착했다. 툰베리는 전날 영국 런던에서 화석 에너지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촉구 시위를 벌였다.
전 세계 환경 시민단체들이 글래스고로 모이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11월 6일에 자신들이 선포한 ‘기후 정의를 위한 세계의 날’이 최대 시위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11월 6일에 100여 개 환경단체에 소속된 10만 명의 환경운동가들이 글래스고에 모여 시위를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