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상업회의소 ‘지속가능한 무역과 무역 금융 규정’ 최초 제안
국제상업회의소 '지속가능한 무역과 무역금융' 규정한 의견서 발표 국제상의와 BCG가 규정집(Rule book) 작성하고, 200개 이상 은행, 기업 의견 반영 발간 의의는 금융 규정은 많으나, 무역 금융 기준 없어, 최초 제안
국제상업회의소(ICC,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가 '지속가능한 무역과 무역 금융 규정(Rulebook) 의견서'를 발표했다.
국제상의는 200개 이상 기업과 은행들의 의견서(Positioning paper)를 바탕으로 2022년에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며, 지난 11일(현지 시각)부터 검증 기간을 갖는다고 밝혔다.
국제상업회의소는 1920년 국제통상 분야에서 민간 기업 활동을 촉진하고 국제무역 규칙 제정, 국제경제협력 기회 마련을 목표로 한 민간기업 대변기관이다.
SDGs 기반, 무역과 금융의 지속가능성 개념 첫 도입 시도
국제상업회의소는 정부와 민간에서 지속가능한 ‘금융’에 대한 규정들을 서둘러 만들고 있지만, 약 5조 달러(5898조 원)의 자산 가치가 있는 ‘무역 금융’에 대한 기준은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의견서는 금융상품에만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지속가능한 금융 프레임워크가 국제 무역의 복잡성에 대처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국제상의는 한 번의 무역 거래에도 수많은 종류의 상품과 서비스, 원자재가 여러 국가와 관할지역을 넘어가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운송 방식이 필요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국제상의는 이런 과정에서 최소 20곳 이상의 이해관계자가 연관된다고 덧붙였다.
국제상의는 이에, 보스턴컨설팅그룹(BCG) 함께 지속가능한 무역과 무역 금융 개념을 정의하는 등 향후 이 부문의 로드맵과 비전을 설정하는 가이드라인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해당 작업은 HSBC은행, 산탄데르(Santander)은행, 코메르츠(Commerz) 은행을 포함해 200개 이상의 은행과 기업의 의견을 받아서 진행됐다.
앤드류 윌슨 국제상의 정책국장은 “지속가능한 무역 및 무역 금융 공동 규정집(Rule book) 준수가 의무는 아니지만, 이에 동의하고 참여하면 무역이 기후 온난화를 야기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기준에 합치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규정 작성 의의를 밝혔다.
의견서는 지속가능한 무역이 필요한 이유, 이번 가이드라인의 역할 및 적용 대상, 원칙, 주요 개념 정의, 평가, 표준화 등에 대한 설명을 22쪽에 걸쳐 설명했다.
국제상의는 특히, ‘지속가능 무역’과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관성을 경제, 인간과 사회, 환경 세 영역에서 정리했다. 경제는 SDGs 8,9,11,17번, 인간과 사회는 1,2,3,4,5,10,16번, 환경은 6,7,12,13,14,15와 연관된다. 국제상의와 BCG는 이런 관계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무역’과 ‘지속가능한 무역 금융’에 대한 개념을 정의할 계획이다.
국제상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서로 연결되는 무역의 특성상 기업, 금융기관, 비은행 금융기관, 정부, 데이터와 인프라 제공자, NGO와 규제당국, 물류 제공업체 등 넓은 범위의 대상을 고려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규정은 협의 기간을 거쳐 2022년 2분기에 상세 내용이 결정되고, 3분기에는 최종 규정(Rule book)이 완성될 예정이다. 윌슨 국장은 “지속가능한 무역 및 무역금융 규정이 협의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특정 거래 유형에 대한 세부 분야별 기준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