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생에너지 전환 위해 백악관 내 에너지부 신설

2021-11-26     박지영 editor

조 바이든 행정부가 백악관 내 과학기술정책실(OSTP)에 에너지 사업부(Energy Division)를 신설했다. 24일 워싱턴포스트(WP)는 샐리 벤슨 스탠퍼드대 에너지 전공 교수를 부서장으로 임명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은 공식 브리핑을 통해 “에너지 사업부 신설을 통해 2035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발전을 달성하고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제로에 도달하겠다”고 설명했다.

OSTP는 대통령 집무실 산하 정책 부서로, 정책실장은 대통령 과학자문위원으로 불린다. 우리나라에 빗대면 장관급으로 볼 수 있다. 대통령과 정부에 경제와 국가안보 관련 과학, 공학적, 기술적 자문 역할을 한다. 예산 집행을 위한 정책 개발과 조정도 OSTP의 업무 중 하나로, 기관, 민간분야, 주정부, 학회, 다른 국가들과 협력을 주도한다. 신설된 에너지 사업부는 에너지 및 핵 안보에 집중하는 에너지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와는 별개 부서다.

에릭 랜더 OSTP 국장은 성명을 통해 "과학 기술은 한때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일들을 성취해냈다"며 "청정 수소와 융합 전력 등 효율적인 탄소중립 에너지 개발 및 실용화의 선순환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사업부는 이달 초 의회에서 통과된 1조2000억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 중 에너지 정책을 이행한다. 인프라 법안에는 △도로·교량 정비 1100억달러 △화물 및 여객철도 660억달러 △버스 등 대중교통기관 쇄신 390억달러 △고속통신망·전력망 정비 650억달러 △수도시스템 개선 및 파이프 교체 550억달러 △전기차 충전설비 50만대 보급 75억달러 등이 담겼다.

더 많은 재생 에너지를 운반할 수 있는 전기 전선을 건설하고, 전기차 충전소 보급과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유정 및 가스정 봉인 작업, 폐탄광 복원 등이다. 에너지 효율성을 높은 신규 주택 100만채 건설 및 기존 구조물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사업도 진행될 예정이다.

에너지부 부서장 샐리 벤슨 교수/스탠퍼드 대학

에너지부를 이끌 샐리 벤슨(Sally Benson) 스탠퍼드대 에너지공학 교수는 백악관에 입성하기 전 스탠퍼드 탄소포집센터의 공동 책임자를 맡았다. 탄소가 대기로 빠져나오기 전 지하에 매장하는 탄소포집기술(CCUS)을 주로 연구했다.

벤슨 교수는 WP와의 인터뷰에서 “최우선 과제는 석유와 가스 등 탄소집약적인 산업을 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로 신속하게 전환해 모든 미국인들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기자동차, 태양광 패널, 청정에너지 기술에 필요한 자재를 조달하는 공급망을 보강하는 것도 우리의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 배터리에 필수적인 리튬과 코발트를 석권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발언이다.

백악관은 벤슨 외 코스타 사마라스(Costa Samaras) 카네기 멜론대 토목 및 환경 공학 부교수를 영입할 예정이다. 사마라스 교수는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해왔다. OSTP 정책실장인 에릭 랜더(Eric Lander)는 “벤슨과 사마라스는 에너지 분야의 선도적 전문가로 재생에너지를 가장 저렴한 전력원으로 전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논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