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영에 이어 캐나다도 기후 리스크 공시 의무화 추진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가 재무부를 비롯한 정부 내각 장관들에게 기후 관련 재정 공개 의무화를 추진할 것을 지시했다. 영국, 미국에 이어 캐나다도 기후 리스크 공개 의무화를 선언한 것이다.
총리, 각계 장관들에게 기후 리스크 공시 의무화 관련 규제 제정 지시
트뤼도 총리는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재무부 부총리와 스티븐 길보 재무 장관에게 보낸 위임장을 통해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개를 위한 태스크포스(TCFD)’를 기반으로 기후 관련 리스크 공시를 의무화하고 금융 기관, 연금 등 연방 규제 기관에 요구할 것을 지시했다.
이번 기후 관련 지침은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겠다"는 캐나다 정부의 공약과 함께 2021년 7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45% 감축하겠다"는 목표와 관련이 있다.
앞서 영국 금융감독청(FCA)는 자산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TCFD에 기반한 기후공시를 2022년 1월 1일부터 의무화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인 게리 겐슬러 역시 지난 3월, 기업의 의무적인 기후 리스크 공시에 대한 규칙을 제안할 것이라 말한 바 있다. 이에 세계 각국들도 기업의 기후 리스크 공개를 자발적으로 한 것에서 나아가 기후 리스크 공시를 의무화하려는 분위기가 형성될 듯 보인다.
기후 공시에 이어 순차적으로 진행 중인 캐나다의 ESG 관련 정책
기후 리스크 공개 의무화에 이어 캐나다는 2035년까지 넷제로 전력시스템 달성을 위한 투자, 2030년까지 경차 판매량의 50%를 탄소 배출 제로 차량으로 의무화하는 규정, 2025년부터 화석 연료 보조금을 제거하겠다는 정부의 약속 시행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그 밖에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에 대해서 세액을 공제하는 조치 등을 도입해나갈 계획이다. 50억 달러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도 준비 중에 있다.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는 “캐나다 전역에서 점점 더 많은 경험을 하게 되면서 기후 변화는 실존적 위협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 관련 조치를 취해야 할 뿐만 아니라 더 빨리, 더 멀리 내다봐야 한다”며 각종 정책 시행의 뜻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