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OECD 회원국 중 빠른 경제 회복.이유는? 청정경제 전환 덕분
OECD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경제조사(Economy Survey) 발표를 통해 코로나19 여파 가운데 덴마크가 회원국 중 빠른 경제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그 이유 중 하나로 발빠른 청정 경제 전환을 꼽았다.
2019년 4분기의 실질 GDP(국내총생산)를 100으로 기준했을 때, 유럽연합 회원국은 평균적으로 2020년 2분기 85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4분기 원래 수준으로 회복해 2023년 4분기까지 105로 회복될 전망이다. 반면 덴마크는 2020년 2분기 93 수준으로 떨어져 2021년 4분기 103까지 반등해 2023년 4분기에는 106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즉, 유럽연합 회원국과 비교했을 때 덴마크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타격도 덜했지만 회복력도 강했다는 것이다.
또한, OECD 경제 조사분석에서 덴마크의 경제 성장률은 2022년에는 2.4%, 2023년에는 1.7%로 회복되어 건전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코로나19 가운데, 덴마크 경제 회복 속도]
이 같은 덴마크의 경제 회복력의 원인으로 OECD는 경제 회복에 집중한 정책적 대응과 더불어 기후에 집중한 청정 경제 전환에 주목했다. 1990년 이미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앞서서 발표했던 덴마크는 온실가스를 2030년까지 70% 줄이고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2020년 12월에는 북해에서의 석유 및 가스 탐사·추출 및 생산을 2050년까지 중단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게다가 코로나19 회복을 위한 정부 지출의 60%가 환경 목표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풍력 발전이 수출 산업으로 이어져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는 부유식 해상풍력 분야에 앞서 있는 국가다. KOTRA의 ‘2021년 덴마크 해상풍력발전 산업 정보’ 보고서에 따르면, 덴마크는 지난해 7월 기준 14개의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운영 중이며, 총 누적발전 용량은 1699MW(메가와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MW 규모의 생산용량은 덴마크 내 약 1000가구가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같이 풍력발전 규모가 상당한 가운데, 2019년 기준 덴마크 풍력산업 종사자는 3만3000여명에 이르며, 풍력 에너지 기술 및 서비스 수출 규모는 전년 대비 비해 20% 증가한 89억 유로(12조 330억원)에 달했다. 이는 덴마크 전체 수출의 7%,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3% 정도를 차지한다.
또한 덴마크는 베스타스(Vestas), 지멘스가메사(Seimens Gamesa), 오스테드(Orsted), COP, NKT 등 풍력산업 분야의 글로벌 기업을 보유한 국가로, 영국, 대만 등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참여하거나 기술ㆍ제품 판매 등으로 경제 성장을 견인 중이다.
게다가, 덴마크는 청정 경제 전환으로 발생한 고탄소 배출 산업군에서의 일자리 손실을 녹색 분야에서 포용하여 상쇄하고자 노력 중이다. 이를 통해 고탄소 산업군이 축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일자리 손실율이 감소해 사회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 일례로 해상 석유 및 가스 기술을 보유한 근로자들이 해상 풍력 분야에서 일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재교육시켜 구직까지 연결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OECD는 덴마크 정부가 지속적이고 강한 경제 성장 촉진을 위해 녹색 기술 관련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더불어 세계적인 낙농업 국가인 만큼 농업 부분의 녹색 전환이 활발하게 이뤄져야한다고 봤다.
또한, 덴마크 정부는 친환경 차량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충전소 확충 등 공공 지원을 아끼지 않아 국민 85%가 전기차로 출퇴근이 가능한 수준이지만, 코로나19로 운송이 증가해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늘어난 상황이다.
이에 OECD는 "친환경 운송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동량이 적은 외곽 지역까지 전기차 충전소를 건설하는 등 폭넓은 정책을 마련하여 전기차 전환을 보다 빠르게 유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무엇보다, 덴마크는 고탄소 배출 산업군의 근로자를 녹색 산업군으로 재배치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국가이기 때문에, 새로운 청정 기술 교육을 노동 시장에 제공하고 구직을 지원함으로써 청정 경제 전환 아래서 근로자를 보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덴마크 정부는 2022년에 들어서며 운송 분야의 청정 전환에 보다 속도를 낼 전망이다. 메테 프레데릭센(Mette Frederiksens) 덴마크 총리는 1일(현지시간) 신년사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선 항공편에서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덴마크 정부는 목표 달성을 위해 공해율이 높은 비행기에 공항 요금 인상을 도입할 방침이며, 2045년을 목표로 국제선 항공편에서도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