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잘하는 기업 특징은? SK사회적가치연구원 조사

착한 기업 1, 2, 3위는 “일-삶의 균형”, “근로 재해 예방”, ‘협력사와 동반성장’ 하는 기업 ESG 선호도 조사 플랫폼 “ESGame: ESG Life Type Explorer” 서비스 오픈

2022-03-08     김효진 editor

SK가 설립한 비영리재단법인인 사회적가치연구원(이사장 최태원)이 7일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ESG 선호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2021년 3월, 5월, 8월 세 차례에 걸쳐 국민 총 7,800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조사 결과, 국민들은 ‘일-삶의 균형을 높이는 기업’, ‘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업’, ‘협력사와 동반성장하는 기업’ 등 S(Social, 사회) 분야를 잘 하는 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다음 중 더 착한 기업을 선택하라’는 질문에는 ‘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업’, ‘일-삶의 균형을 높이는 기업’, ‘협력사와 동반성장 하는 기업’이 1, 2, 3위로 나타났다. 사회에 필요한 기업, 투자하고 싶은 기업으로 바꾸어도 유사한 응답을 보였다.

 

착한 기업

사회에 필요한 기업

투자하고 싶은 기업

1

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업(S)

-삶의 균형을

높이는 기업(S)

-삶의 균형을

높이는 기업(S)

2

-삶의 균형을

높이는 기업(S)

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업(S)

협력사와 동반성장

하는 기업(S)

3

협력사와 동반성장

하는 기업(S)

협력사와 동반성장

하는 기업(S)

성과평가보상을 합리적으로 하는 기업(G)

4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기업(E)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기업(E)

근로 재해를

예방하는 기업(S)

5

폐기물 배출을

줄이는 기업(E)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기업(S)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기업(S)

 

한편, G(Governance, 거버넌스) 영역에서는 ‘성과평가 보상을 합리적으로 하는 기업’, E(Environmental, 환경) 영역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기업’이 5위권 내에 포함됐다.

‘다음 중 더 나쁜 기업을 선택하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착한 기업 질문의 반대격이 되는 기업들이 선택되었지만 착한 기업과 나쁜 기업 순위를 비교해 보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착한 기업, 못하면 나쁜 기업으로 인식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요소로는 근로재해 예방, 협력사 동반성장, 수질오염 감소, 폐기물 감축 등이 나타났다.

사회적가치연구원이 조사한 착한 기업, 나쁜 기업 순위

 

이같은 조사결과를 활용해, 사회적가치연구원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강정한 교수 연구진과 함께 ESG 라이프 스타일 테스트인 “ESGame: ESG Life Type Explorer(이하, ESGame)”을 개발했다. ESGame은 환경과 사회, 경영 각 항목에 연관된 문항들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지표에 대한 인식을 묻고, 개인의 ESG 유형을 이끌어내는 테스트다. 성격검사 MBTI처럼, 몇 번의 응답을 하고 나면 내가 추구하는 삶과 사회의 모습을 진단해 주는 서비스인 것이다. 조사의 상세 결과와 나의 ESG Life Type은 www.svhub.co.kr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가치연구원은 사회적 가치 분야 포털 사이트인 ‘SV Hub’를  7일 업그레이드 오픈했다. 이 플랫폼은 POST, DB, SV Library, ESGame 5가지 주요 메뉴와 13개 세부 메뉴로 구성됐다. 사회적 가치, ESG 관련분야 연구 결과 및 컨텐츠를 제공하며, 사회적 가치 측정 지표 열람(SV Library), ESG 선호도 서베이(ESGame), CSES 연구 DB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오픈 기념 이벤트도 7일부터 오는 30일까지 진행된다.